제조기업 75% 실적 달성 ‘빨간불’…10곳중 3곳 적자 예상

12 hours ago 1


국내 제조기업 4곳 중 3곳은 올해 회사의 영업이익이 연초에 세운 목표치에 미치지 못할 것으로 내다봤다. 세계 경기 침체에 따른 수요 부진과 미국발 고관세로 인한 비용 상승효과가 겹치면서 국내 제조 기업의 실적 달성에 ‘빨간 불’이 켜졌다. 정부와 정치권의 연이은 기업 규제 법안으로 현장에서 체감하는 경영상 어려움도 크게 증가했다.

20일 대한상공회의소가 전국 제조기업 2275개 사를 대상으로 ‘2025년 기업 경영실적 전망 및 애로 요인 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체 기업 중 75.0%가 올해 영업이익이 연초 목표에 미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따라 경영 불확실성이 컸던 2020년(74.0%)보다 더 높은 수준이다. 올해 영업이익이 목표치 수준이라고 응답한 기업은 20.4%였으며, 목표치를 초과 달성할 것으로 답한 기업은 4.6%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올해 영업손익 적자를 예상한 기업(32.1%)이 흑자를 예상한 기업(27.0%)보다 많았다. 또 지난해 흑자였던 것이 올해 적자로 돌아설 것으로 예측한 기업 비중이 7.1%로, 적자에서 흑자로 전환할 것이라고 응답한 기업(3.1%)의 두 배를 넘었다.

올해 국내 제조기업들은 해외 시장에선 경기 침체 등으로 힘든 상황을 겪고 있고, 내수 시장에선 소비가 줄면서 매출 부진이 이어지고 있다. 수출 역시 반도체를 제외하면 올 1~9월 누적 수출이 전년 대비 1.5% 감소했다.

이 같은 상황에서 미국 정부의 고관세 정책과 원자재 가격 상승, 또 고금리 장기화로 인한 금융 비용 증가로 수익성이 크게 떨어졌다. 기업들은 비용 측면에서의 가장 큰 애로사항을 묻는 질문에 ‘원자재가 상승’(42.5%)과 ‘인건비 상승’(30.4%)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관세 증가’(8.9%), ‘이자 등 금융비용’(8.0%)이 뒤를 이었다.

정부와 여당에서 상법 개정안과 노란봉투법(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제2·3조 개정안)을 연이어 통과시키면서 기업 현장에서 체감하는 경영 부담도 크게 늘었다. 법·제도 부담 변화에 대해 44.3%가 ‘부담이 가중됐다’고 응답했다. ‘부담이 감소했다’(5.2%)는 응답의 8배가 넘었다.

재계에서는 기업들의 규제 부담을 줄이기 위한 정책 및 입법이 시급하다고 보고 있다. 김현수 대한상의 경제정책팀장은 “국내외 정치, 경제 환경 변동으로 인해 기업 부담이 늘어난 지금이 정부와 국회가 입법을 통해 기업에 힘을 불어넣어야 할 시기”라고 말했다.

이동훈 기자 dhlee@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