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D로 갈아탄 서학개미들…수익률은 테슬라 승

8 hours ago 2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출시 일주일을 맞은 BYD 상장지수펀드에 많은 개인투자자가 관심을 보였지만, 테슬라 ETF의 수익률이 여전히 우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테슬라 관련 ETF는 6.46%의 수익률을 기록한 반면, BYD ETF는 3.01%에 그쳤다.

그러나 전체 미래차 분야에서 중국 기업들이 포함된 ETF의 성과는 더 높아, 향후 테슬라의 실적 발표가 주목받고 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사진설명

출시 일주일을 맞은 중국 전기차 BYD 상장지수펀드(ETF)에 많은 서학개미가 갈아탔지만 수익률은 테슬라가 우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코스콤 ETF 체크에 따르면 개장 전 기준 지난 1주일간 국내 개인투자자는 한국투자신탁운용의 ACE테슬라액티브 ETF를 119억8300만원 매도했다. 반면 ACE BYD액티브 ETF는 같은 기간 16억1100만원 개인 매수세를 기록했다.

하지만 수익률 측면에선 반대의 결과가 나타났다. 같은 기간 테슬라 밸류체인 ETF는 6.46%의 수익률을 기록한 반면, BYD 밸류체인 ETF는 3.01%에 그쳤다.

다만 단일 종목 넘어 미래차 분야 전체로 국가 간 수익률을 비교하면 중국 측이 우위였다. 테슬라, 엔비디아 등이 포함된 ‘TIGER 글로벌자율주행&전기차 SOLACTIVE’ ETF는 주간 수익률이 3.43%에 그쳤다. 하지만 BYD 등이 포함된 ‘TIGER차이나자율주행&전기차SOLACTIVE’의 주간 수익률은 4.67%로 더 높았다.

테슬라 주가의 한 축인 로봇으로 양국을 비교했을 때도 같은 기간 중국 기업들이 돋보였다. KODEX차이나휴머노이드 ETF는 7.95% 상승한 반면 테슬라가 포함된 KODEX미국휴머노이드 3.72% 상승에 그쳤다.

향방을 가를 다음 변곡점은 테슬라의 23일(현지시간) 실적 발표다. 현재 테슬라에 대한 기대치는 낮은 상태다. 월가는 테슬라의 매출이 전년 255억 달러 대비 13.3% 감소하고, 주당순이익(EPS)은 25% 급감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