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관세 압박 통했나 러·우크라, 오늘 3차회담

7 hours ago 1

우크라이나와 러시아가 23일 튀르키예에서 7주 만에 평화협상을 재개할 예정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러시아 제재 압박 강도를 높이겠다고 밝힌 지 1주일 만이다.

22일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전날 “루스템 우메로우 국가안보국방위원회 서기와 러시아 측의 접촉 및 추가 회담 준비 사항을 논의했으며 회담이 수요일(23일)에 예정돼 있다고 보고받았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4일 우크라이나에 새 무기 제공을 약속하고 50일 내로 휴전 합의를 하지 않으면 러시아와 교역국에도 고율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경고했다. 피터 헤그세스 미국 국방장관은 21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국방 연락 그룹’(UDCG)에 참석하기도 했다. UDCG는 우크라이나를 지원하기 위한 군사 지원 협의체다. 트럼프 대통령 집권 뒤 미국은 이 협의체에 거리를 두고 있었다.

미국의 압박에도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휴전 협정은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양국 의견이 여전히 극명하게 갈리기 때문이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가 크림반도에 더해 돈바스 등 4개 접경 지역을 양도하고,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가입 의사도 포기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우크라이나는 이를 모두 거부하고 있다.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은 21일 브리핑에서 “우리 제안서 초안이 있고, 우크라이나 측에서 제출한 제안서 초안도 있다”며 “현재까지 완전히 대립하는 두 초안에 대한 의견 교환과 회담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우리 쪽 의제는 분명하다”며 “전쟁 포로 송환, 러시아에 납치된 어린이 송환, 정상회담 준비”라고 강조했다.

양국은 5월 16일과 6월 2일 두 차례 튀르키예 이스탄불에서 평화협상을 했다. 그러나 포로 교환과 전사자 유해 반환 외에는 성과를 내지 못했다.

김주완 기자 kjwan@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