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삶의 만족도' 4년 만에 하락

3 hours ago 1
ⓒ게티이미지뱅크ⓒ게티이미지뱅크

코로나19 시기 이후 지속해서 상승했던 한국인 삶의 만족도가 4년 만에 하락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8개국 중 33위를 기록했다.

통계청은 24일 이같은 내용의 '국민 삶의 질 2024' 보고서를 발간했다.

2023년 기준 한국인 삶의 만족도는 6.4점으로 전년 대비 0.1점 하락했다. 삶의 만족도는 객관적인 삶의 조건에 대한 주관적 만족 정도를 보여주는 지표다. 삶의 만족도는 2013년 5.7점에서 2018년 6.1점까지 올랐으며 2019년 6.0점으로 하락한 뒤 점차 상승했으나 2023년 다시 하락했다.

가족관계 만족도는 2022년 64.5%에서 2023년 63.5%로 하락했다. 같은 기간 대인 신뢰도는 54.6%에서 52.7%로, 기관 신뢰도는 52.8%에서 51.1%로 하락했다. 여가시간은 2023년 52.7%로 떨어졌다. 기관 신뢰도 또한 52.8%에서 51.1%로 하락했다.

여가시간은 2022년 4.2시간에서 2023년 4.1시간으로 줄었다.

대졸자 취업률은 70.3%로 0.7%P 상승했으며 사회단체 참여율도 58.2%로 7.3%P 상승했다. 고용률은 2024년 기준 62.7%로 전년 대비 0.1%P 올랐다.

교육비부담도는 2024년 60.9%로 2022년 57.7% 대비 3.2%P 상승했다. 연령별로는 50대 가구주의 교육비부담도가 62.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학교생활 만족도는 2022년 51.1%에서 2024년 57.3%로 6.2%p 증가했다. 학교생활만족도는 2020년 59.3%에서 전면 등교로 전환된 2022년 급격히 하락했으나 다시 증가세로 전환됐다. 세부항목별로 만족도를 보면 교우관계가 71.6%로 가장 높았으며 교사와의 관계는 65.3%, 교육방법은 50.3%의 만족도를 보였다.

삶의 만족도는 소득수준별로 차이를 보였다. 소득이 100만원 미만인 가구의 삶의 만족도는 5.7점으로 0.7점 낮았다. 소득이 100만~200만원 미만인 가구는 6.1점, 200만∼300만원 미만인 가구는 6.2점이었다. 소득이 600만원 이상인 가구의 만족도는 6.6점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 19~29세와 39세에서 각각 6.5점의 만족도를 기록했으나 60세 이상(6.2점)의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세계행복보고서의 국제 비교 결과를보면 한국의 삶의 만족도는 2021~2023년에 6.06점으로 OECD 평균(6.69점)보다 0.63점 낮았다.

인구 10만명당 자살률은 2022년 25.2명에서 2023년 27.3명으로 상승했다. 자살률은 2011년 31.7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점차 하락해 2017년 24.3명에서 등락을 거듭했다.

범죄피해율은 2022년 인구 10만명 당 6439건(인구 10만 명당)으로 2014~2020년까지 4000건 미만이었던 것과 비교해 큰 폭의 증가를 기록했다. 이는 주로 재산범죄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됐다.

야간보행 안전도는 2024년 69.5%로 2022년 70.4%에서 0.9%P 감소했다. 안전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도 2024년 28.9%로 2022년보다 4.4%P 감소했다.

최다현 기자 da2109@etnews.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