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사들이 지난해 최대 실적을 내면서 메리츠화재를 비롯해 삼성생명·화재가 올해 역대 최다 성과급을 지급할 가운데, 성과급 지급 기준에 소비자의 편익을 높인 부분을 고려해 지급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보험료는 내리지 않는데 자칫 소비자가 보기엔 성과급 잔치를 한다고 오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8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메리츠화재는 최근 평균 60% 성과급을 지급한다고 사내에 공지했다. 이는 손해·생명보험사를 통틀어 최고 수준으로 알려졌다. 앞서 삼성생명은 올해 예상 성과급으로 연봉의 34~38% 수준을, 삼성화재는 연봉의 46~50%를 지급할 계획이다. 앞서 삼성생명은 지난해는 연봉의 29%를, 삼성화재는 연봉의 50% 수준을 지급해 역대급 성과급 지급을 이어가고 있는 셈이다.
이같은 성과급을 지급할 수 있는 배경으로는 지난해 보험사들이 역대 최대 실적을 올려서다.
업계는 높은 성과급 지급이 보험사 전체로는 번지지는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중소형사는 성과급 지급이 높지 않을뿐더러 일부 보험사는 실적에 따라 차등 지급하지 않는 등 기준이 달라서다. 한 보험사 관계자는 “대형사를 제외하고선 실제 지급되는 성과급은 크지 않을 것”이라며 “성과급은 각 사마다 지급 기준 등이 너무 다르고 금액의 차이도 큰 편이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보험사가 역대급 실적을 낸 만큼 소비자에게 환급을 해주거나 보험료를 내리는 등 편익을 높여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더욱이 최근에는 도수 치료 등 비급여의 실손보험 본인부담률이 95%로 오르는 실손보험 개혁안 초안이 발표되다 보니 소비자의 불만은 더 커지고 있다. 비급여 진료의 과잉 진료를 예방해 보험금 누수를 막고 필수의료를 강화한다는 취지지만, 개혁안이 도입되면 결국 보험사의 지급액과 건수가 줄어들 수 있어서다.
이에 보험사가 성과급 지급 때 핵심성과지표(KPI) 기준에 단지 성과만 집중하는 게 아닌 소비자의 가입 상품 관리를 잘했다거나 소비자의 편익에 기여한 부분을 성과급 지급 기준에 포함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는 의견이 나온다.
서지용 상명대 경영학부 교수는 “임직원에게 성과급을 지급하면 열심히 하겠다는 동기부여가 되는 측면은 있지만 소비자로선 보험료는 낮아지지 않고 부담스러운데 긍정적으로 보이지는 않는다”며 “성과급 지급 기준을 소비자 편익에 높인 임직원에게 지급하는 등의 방안을 생각해 볼만한다”라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