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짜 쌀이 없다고?”
한나절 내내 줄을 선 사람들이 소리를 지르기 시작했다. 자기 눈으로 재고를 확인하지 않고서는 한 발짝도 움직일 수 없다는 기세다. 일부는 가게 유리창을 깨고 안으로 들어가 흩어진 쌀알을 주워 담기도 했다. 2008년 봄 온 나라를 들쑤신 ‘필리핀 쌀 소동’ 사건의 한 장면이다.
필리핀은 세계에서 손꼽히는 쌀 생산국이자 수출국이었다. 국제미작연구소(IRRI) 본부를 두고 전 세계에 신품종 볍씨를 공급한 나라다. 그런 나라가 이제는 쌀 부족국이자 수입국이 됐다. 최근에도 쌀값이 폭등해 식량안보 비상사태가 선포됐다. 논을 없애고 그 자리에 바나나, 파인애플, 망고, 사탕수수 등을 대거 심은 탓이다.
1970년대 후반 한국은 통일벼 때문에 쌀이 남아돌았다. 하지만 기상이변으로 1980년부터 1982년까지 쌀 생산이 연속 줄었다. 그 결과 쌀값이 오르고 보관 중이던 정부미마저 바닥을 보였다. 부랴부랴 50만t의 쌀을 긴급 수입하기로 했다. 그 말이 떨어지기가 무섭게 t당 200달러를 밑돌던 국제 쌀값이 550달러로 치솟는다. 결국 시세의 세 배를 주고 쌀을 들여왔다.
요즘은 쌀이 남아서 문제다. 그래서 정부가 팔을 걷어붙였다. 생산을 줄이고 소비를 늘리자는 것이다. 그 일환으로 올해 8만㏊(800㎢)의 벼 재배면적을 줄이겠다고 한다. 어떻게든 쌀값 하락을 막아보겠다는 고육책이다. 그러나 여기서 유념해서 살펴볼 대목이 있다. 쌀 소비 패턴과 쌀 자급률이다.
대개 쌀 소비는 가구 부문과 사업체 부문으로 구분한다. 가구 부문은 집에서 밥솥으로 지어먹는 집밥용 쌀이다. 사업체 부문은 즉석밥, 떡, 김밥, 도시락 외 각종 가공식품에 소요되는 쌀을 말한다. 1인당 쌀 소비가 줄어든다는 것은 가구 부문만 가리킨다. 사업체 부문의 쌀 소비는 꾸준히 늘고 있다.
작년 한국 쌀 생산량은 358만5000t이다. 가구 부문과 사업체 부문을 합친 전체 쌀 소비량은 대략 376만t이다. 소비량보다 생산량이 적다. 이래서 우리나라는 완전한 쌀 자급국가가 아니다. 쌀이 남아도는 것은 매년 의무적으로 수입하는 물량 탓이 크다. 그래서 쌀 문제 해결을 위한 재배면적 감축은 신중할 필요가 있다. 논은 한번 없애면 복원하기가 힘들기 때문이다
필리핀만 보더라도 나라 곳간 허물어지는 건 한순간이다. 100%에 못 미치는 우리 쌀 자급률도 결코 가볍게 볼 일이 아니다. 식량 이전에 민족정서의 근간을 이뤘던 쌀. 이 귀한 존재의 순탄한 행로를 위해서는 파부침주(破釜沈舟·솥을 깨뜨리고 배를 가라앉히다)의 결기도 중요하지만 호시우보(虎視牛步·호랑이처럼 날카로운 눈으로 소처럼 신중하게 걷는다)의 통찰도 함께 요구된다. 여기에 농민의 이해와 참여, 국민의 든든한 ‘밥심’까지 더해진다면 금상첨화다. 염원은 구호로도 이뤄진다고 했던가. 대한민국 쌀이여, 부디 영원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