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의대 신입생에 휴학 동참 압박… 부당한 집단행동 멈춰야

6 hours ago 3
2025학년도 의대 신입생들이 선배 의대생들의 노골적인 ‘동맹 휴학’ 동참 압박에 수업 참여를 고심하고 있다. 대부분의 의대 학칙상 예과 1학년생은 휴학을 허용하지 않기 때문에 신입생은 수업 거부로 유급 등 불이익을 당할 우려가 크다. 그런데도 폐쇄적인 의대 문화 탓에 집단행동을 거부하기 힘들다고 한다. 휴학생은 돌아오지 않고, 신입생도 눈치를 보는 상황이 계속되자 개학 일정조차 잡지 못한 의대가 늘고 있다.

신입생들이 받는 압력은 상당히 조직적이다. 의대 6곳은 1년간의 의정 갈등과 집단행동에 대해 설명하는 자료집인 ‘의료 정책 길라잡이’를 신입생에게 배포했다. 신입생 오리엔테이션에서 장장 몇 시간씩 휴학 동참을 요구하거나, 연락처를 수집해 개인적으로 휴학을 권유한 의대도 있다. 수업을 거부하지 않으면 이른바 ‘족보’를 공유하지 않거나 도제식 실습에서 열외가 될 것이라고 압박했다. 교육부가 의대 학생 보호·신고센터에 접수된 11건을 경찰에 수사 의뢰했는데 수업 거부, 휴학계 제출을 강요하거나 신상을 공개한 사례 등이었다.

현재 40개 의대에서 1학기 복학을 신청한 학생은 전체 휴학생(1만8343명)의 8.2%에 불과하다. 의정 갈등 1년이 넘도록 집단행동에서 이탈자가 거의 없는 건 의대 입학부터 전공의 수련까지 통상 10년을 같이 보내는 의사 사회의 폐쇄성에 기인한다. 최근 서울대, 인제대 수업에 참여한 의대생 명단이 ‘블랙리스트’로 유포된 일이 있었던 것처럼 집단의 결정에 따르지 않으면 당장 따돌림이 돌아온다. 정보와 인맥에서 배제되는 집단 따돌림은 공포 그 자체라 결국 복학을 포기한 의대생이 속출했다.

민주주의 사회에서 누구나 자유롭게 의견을 개진할 수 있어야 하지만 그것을 타인의 의지에 반해 강요하는 것은 폭력이 된다. 수업을 듣느냐, 마느냐조차 개인의 양심과 의지를 존중하지 않는 집단이 어떤 대의명분을 내세운들 공감을 얻을 수 있겠나. 정부의 졸속 의대 증원 정책이 촉발했다고는 하지만 동료를 비난하고 압박하는 의대생들의 성찰 없는 집단행동은 직역 이기주의로 비칠 뿐이다.

사설 >

구독

이런 구독물도 추천합니다!

  • 횡설수설

  • 천광암 칼럼

    천광암 칼럼

  • 사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