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KBL 정상급 가드로 성장한 허예은은 6일 막을 내린 FIBA 윌리엄존스컵에서도 어시스트 부문 1위(5.4개)에 오르며 국제 경쟁력까지 입증했다. 13일 중국 선전에서 개막하는 아시아컵을 향한 기대도 커졌다. 스포츠동아 DB
청주 KB스타즈 허예은(24·165㎝)은 출전시간을 대폭 늘리며 팀의 통합우승(정규리그+챔피언결정전)을 이끈 2021~2022시즌부터 한국여자농구를 대표하는 가드로 자리매김했다. 2022년 2월 국제농구연맹(FIBA) 여자농구월드컵 최종예선 국가대표팀에서도 잠재력을 보여줬다.
2022~2023시즌부터는 꾸준히 평균 30분 이상을 소화하며 팀의 주축으로 자리 잡았고, 지난 2시즌 연속(2023~2024·2024~2025시즌) 두 자릿수 평균득점과 6어시스트 이상을 올리며 리그 최정상급 가드임을 입증했다. 2024~2025시즌에는 7.03어시스트를 기록해 이 부문 타이틀을 거머쥐었다.
국제무대에서도 충분한 경쟁력을 보여줬다. 6일 대만 타이베이에서 막을 내린 2025 윌리엄존스컵에서도 어시스트 부문 1위(5.4어시스트)에 올랐다. 5경기에 출전해 평균 5.2점·3.0리바운드·5.4어시스트·0.8스틸을 올리며 대표팀이 2위(4승1패)에 오르는 데 일조했다. 3일 일본전을 제외한 전 경기에서 6어시스트 이상을 올리며 공격을 조율했다. 같은 기간 평균 5.0어시스트를 기록한 선배 안혜지(28·부산 BNK 썸)와 건강한 경쟁을 통한 시너지도 기대된다.
스코어러와 호흡도 갈수록 나아지고 있다. 소속팀 선배 강이슬(KB스타즈), 박지현(마요르카) 등 확실한 득점루트를 주저 없이 활용했다. 강이슬은 시드니 쿡스(대만·평균 21.0점)에 이어 득점 부문 2위(19.0점), 박지현은 3위(17.6점)를 차지하며 이번 대회 베스트 포워드에도 이름을 올렸다. 허예은의 슈팅 능력 역시 나쁘지 않다. 기회가 찾아오면 과감하게 슛을 던진다. 이번 대회에서도 47.6%(21시도 10성공)의 필드골 성공률을 기록했다.
다음 무대는 13일부터 20일까지 중국 선전에서 열리는 FIBA 아시아컵이다. 대표팀은 중국, 뉴질랜드, 인도네시아와 이 대회 조별리그 A조에 속했다. 모두 만만치 않은 상대다. 대표팀의 목표는 4강 진출이다. 공격을 조율하는 가드의 활약 여부에 따라 경기력이 달라질 수 있다. 그만큼 허예은의 역할이 중요하다. 일단 윌리엄존스컵을 통해 더 큰 무대에서도 가치를 증명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확실히 쌓은 것만으로도 엄청난 수확이다.
강산 기자 posterboy@donga.com
강산 기자 posterboy@donga.com
Copyright © 스포츠동아.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