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민관동행’ 개발 본격화…개화산역에 중산층 ‘액티브 시니어 복합공간’

21 hours ago 5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서울시는 전국 최초로 도입한 '공모형 민간투자사업'인 민관동행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민간의 창의성과 자본을 활용해 필요한 사회기반시설을 공급하며, 구로구, 송파구, 강서구 세 곳에서 시범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서울시는 추가 후보지로 서초구와 광진구를 제안하며, 지역사회와 협력하는 거버넌스 체계도 구축할 계획이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서초·광진구 후보지 2곳 공개
올해 중 민간사업자 공모 추진

서울시는 지난해 전국 최초로 도입한 ‘공모형 민간투자사업’(이하 민관동행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8일 밝혔다.

민관동행사업은 시가 대상지를 먼저 공개하고 민간 사업자로부터 창의적인 기획을 제안받아 개발하는 민간투자사업 모델이다. 활용도가 상대적으로 떨어진 시유지에 민간의 창의성과 자본을 결합해 사회기반시설을 공급하는 방식이다. 기존의 공공 주도 ‘정부고시사업’과 민간 주도 ‘민간제안사업’의 장점을 융합한 새로운 유형이다. 시는 재정 부담 없이 주민들이 필요한 시설을 공급할 수 있는 게 장점이다.

시는 지난해 민관동행사업 1차 대상지로 ▲ 구로구 개봉동 공영주차장 ▲ 송파구 옛 성동구치소 특계5 부지 ▲ 강서구 개화산역 공영주차장 등 3곳을 공모해 시범사업으로 추진 중이다.

구로구 부지에는 주민 생활 편의시설 등을 갖춘 행정복합시설, 송파구 부지는 공연장을 포함한 복합문화공간, 강서구 부지는 액티브(능동적) 시니어를 위한 주거·일자리 복합 공간이 제안된 바 있다.

이 가운데 강서구 부지는 지난달 민간 사업자로부터 최초제안서가 접수됐다. 시는 이를 바탕으로 이달 중 전문기관 제안서 검토를 의뢰해 사업 추진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민간 사업자가 제안한 사업은 ‘미래형 시니어 복합시설’이다. 초고령사회에 대응해 중산층 어르신을 위한 주택 공급과 은퇴 세대의 일자리를 위한 도심형 스마트 생활 허브를 핵심으로 한다. 스마트 주차타워, 시니어 및 지역주민 대상 데이케어센터, 청년과 시니어 간 세대통합 커뮤니티 공간 등 다양한 시설을 복합적으로 조성한다.

구로구와 송파구도 연내 제안서를 제출할 예정이다.

시는 민관동행사업이 확산할 수 있도록 2차 공모 후보지로 서초구와 광진구 2곳을 사전 공개하고 연내 공모를 추진할 계획이다. 서초구는 서초동 393-8일대 옛 서초소방학교 부지(약 1만9840㎡), 광진구는 능동 18일대 어린이대공원 후문 인근 공영주차장 부지(약 7800㎡)다.

시는 기획재정부 등 관계기관과 협력해 사업 기간 단축, 인센티브 확대, 규제 합리화 등 제도 개선도 병행하고 있다. 이를 통해 저이용 시유지의 활용도를 극대화하고 민간의 창의성과 활력을 기반으로 사회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정책시설을 늘려나간다는 목표다.

지역사회와 개발이익을 공유하는 ‘지역상생리츠(REITs)’ 방식도 적극 검토해 주민·민간·공공이 함께하는 협력 거버넌스 체계도 구축할 방침이다.

김성보 서울시 행정2부시장은 “민관동행사업이 본격화하면 다양한 정책 사업을 실현해 도시 매력과 경쟁력이 획기적으로 향상될 것”이라며 “사회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지역 주민과 개발이익을 공유하는 상생 모델로 자리매김하겠다”고 말했다.

민간이 제안한 개화산역 공영주차장 조감도 <제공=서울시>

민간이 제안한 개화산역 공영주차장 조감도 <제공=서울시>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