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보스포럼' 창립자 슈바프, 국가경쟁력 순위 조작 정황 드러나

7 hours ago 1

클라우스 슈바프 세계경제포럼(WEF·다보스포럼) 전 회장. (사진=AP)

클라우스 슈바프 세계경제포럼(WEF·다보스포럼) 전 회장. (사진=AP)

세계경제포럼(WEF·다보스포럼)의 창립자이자 회장을 지낸 클라우스 슈바프(87)가 국가경쟁력 보고서를 조작했다는 의혹이 사실로 드러나고 있다.

21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과 폴리티코 유럽판에 따르면, 스위스 일간지 존탁스차이퉁은 슈바프 전 회장의 보고서 개입 정황이 스위스 법무법인 홈부르거의 초기 조사에서 확인됐다고 보도했다. 이번 조사 결과는 지난 4월 슈바프 전 회장의 퇴진 계기가 된 내부 고발 서한의 내용을 뒷받침한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슈바프 전 회장은 중동·북아프리카·인도 등의 순위를 수정하거나 이들에게 불리한 보고서의 발간을 막기 위해 여러 차례 개입했다. 2017년에는 인도의 순위가 낮게 나오자,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와의 갈등을 우려해 당시 WEF 전무이사에게 보고서 발간 보류를 요청하기도 했다. 브렉시트(영국의 EU 탈퇴) 지지자들의 데이터 악용을 우려해 영국 순위 상향을 막으려 한 정황도 있었다.

2022년에는 순위가 하락한 한 국가의 고위 관료에게 초안을 공유하고, 보고서 발간에 반대할 것을 권유한 사실도 드러났다. 해당 보고서는 결국 발간되지 않았으며 WEF는 당시 코로나19로 인한 불확실성을 이유로 들었다.

보고서를 작성한 홈부르거는 현재 슈바프 전 회장의 보고서 조작뿐 아니라 공금 횡령, 부동산 사적 이용 등 다양한 혐의를 조사 중이다. 슈바프 전 회장의 부인이 공식 직책 없이 약 90만 스위스프랑(약 15억원)의 출장비를 청구한 정황도 조사 대상이다. 최종 조사 결과는 8월 말께 나올 예정이다.

한편 슈바프 전 회장은 지난해 성추문과 인종차별 의혹으로 회장직을 사임했고, 올해 4월 내부 고발로 국가경쟁력 보고서 조작 등 추가 의혹이 불거지자 이사회 의장직에서도 물러났다. 독일 출신 경제학자인 그는 1971년 WEF의 전신인 유럽경영자포럼을 출범시키고, 이를 세계적 행사인 다보스포럼으로 키워냈다. 슈바프 전 회장은 모든 혐의를 부인하며 "내부 조사 결과가 언론에 유출돼 기만당했다고 느낀다. 필요시 법적 대응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임다연 기자 allopen@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