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수경기 진작 위해 중국인 단체관광객 무비자 한시적 허용

5 hours ago 4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정부는 다음달 29일부터 내년 6월 30일까지 중국인 단체관광객을 대상으로 무비자 입국을 한시적으로 허용한다고 밝혔다.

이번 무비자 정책은 관광 시장 회복에 기여하며 지역 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정부는 우대심사대 혜택 확대와 다양한 관광 진흥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전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정부가 다음달 29일부터 내년 6월 30일까지 중국인 단체관광객을 대상으로 무비자 입국을 한시 허용한다.

앞서 중국은 지난해 11월부터 한국 국민의 무비자 입국을 허용한 바 있다. 정부도 이에 호응해 중국인 단체관광객을 무비자로 받기로 하고 관계부처 간 사전 협의를 진행해왔다.

정부는 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김민석 국무총리 주재로 '관광 활성화 미니 정책 태스크포스(TF)' 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외국인 관광객 유치 확대를 위한 핵심 관광 규제의 합리화 방안'을 발표했다. 관광 시장이 회복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 무비자 정책 시행이 중국인 관광객 흡수에 도움이 될 것이란 기대가 크다. 아울러 지역경제 활성화 등 내수 진작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정부는 또 국제회의에 참가하는 외국인의 입국 편의를 위해 우대심사대(패스트트랙) 혜택 대상을 확대한다. 우대심사대 적용을 받을 수 있는 외국인 참가자 기준을 기존 500명 이상에서 300명 이상으로 완화하고 시범운영 중인 입국심사 간소화 제도를 내년부터 정식으로 제도화하겠다는 것이다. 이뿐만 아니라 의료관광 우수 유치 기관 지정 기준에 '외국인 환자 유치 실적'을 추가하고 △전자사증 신청 권한 △재정 능력 입증 서류 제출 면제 △간병인 초청 범위 4촌 이내 방계가족까지 확대 등 다양한 혜택을 제공할 방침이다. 10월 말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방한 관광을 활성화하는 방안은 범부처 협의체인 '국가관광전략회의'에서 논의하기로 했다. 김 총리는 이날 "2025 APEC 정상회의가 관광 활성화를 위한 매우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며 "APEC 행사를 효과적으로 홍보할 수 있는 체계화된 전략과 구체적인 계획을 신속히 마련하라"고 문화체육관광부 등 관계부처에 주문했다.

한편 다이빙 주한 중국대사가 SNS를 통해 환영 메시지를 냈다. 다이 대사는 6일 자신의 엑스(X)에 "한국 측은 오는 9월 말부터 중국인 단체관광객에 대해 무비자 입국을 시행하겠다고 발표했다"며 "이는 방한 중국인 관광객에게 좋은 소식"이라고 말했다.

[전형민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