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요기획] 세계 최대 규모 ‘이집트 대박물관’ 개관, 연면적 49만 ㎡… 축구장 70개 규모
美 CBS “전부 보는 데 70일 걸려”… ‘투탕카멘의 황금 마스크’ 등 공개
1992년부터 구상해 33년 만에 완공… 1조4400억 투입 대규모 프로젝트
이집트 관광산업 부흥 신호탄 역할… 로제타석 등 약탈 문화재 환수 기대
‘투탕카멘 컬렉션’부터 ‘태양의 배’까지…. ‘세계 최대’ 이집트 대박물관이 4일(현지 시간) 기자 대피라미드 근처에 문을 열었다. 공사를 시작한 지 20년 만이다. 역사 마니아들을 설레게 할 간판 유물들을 둘러봤다.》

GEM은 7000년 이집트 역사가 깃든 보물이 가득해 역사 마니아들에겐 ‘꿈의 성지’로 꼽힌다. 1일 열린 개관식에서 압둘파타흐 시시 이집트 대통령은 “인류 역사 이래 나일강 유역에 살아온 사람들의 삶을 담아낸 박물관”이라며 “인간적 가치를 믿는 모든 이들에게 등불이자 대화의 장, 지식의 중심이 되길 바란다”고 기대감을 표했다.
● 사상 첫 ‘투탕카멘 컬렉션’ 모두 공개


4500년 전 쿠푸 왕의 ‘태양의 배’도 이번 정식 개관을 통해 4년여 만에 모습을 드러냈다. 지금까지 확인된 세계 고대 선박 가운데 가장 오래되고 거대한 유물로 꼽힌다. 현재 복원된 배는 길이 43m에 무게가 20t에 이른다. 박물관 측은 “파라오가 죽은 뒤 나일강 서편 저승으로 향하는 마지막 항해에 이 배를 사용할 것으로 고대인들은 믿었다”며 “1950년대 발굴 당시 못질 없이 정교하게 짜맞출 수 있는 1200여 개의 나무 조각으로 발견됐다”고 설명했다.
● 공사만 20년 “옛 영광 되찾으려는 의지”
칼리드 압델라흐만 주한 이집트 대사는 “당초 2022년에 개관하려 했으나 팬데믹과 중동 전쟁 등으로 인해 거듭 미뤄졌다”며 “총 10억 달러(약 1조4400억 원)가 투입된 대규모 프로젝트로, 예산의 80%(약 8억 달러)를 일본국제협력기구(JICA)가 댔다”고 했다. JICA는 유물 보존과 복원, ‘제2의 태양의 배’ 조사 연구를 위한 기술 협력도 제공하고 있다. 박물관 지하 10m엔 1만230㎡ 규모의 복원센터와 3400㎡ 규모 수장고가 마련됐다.

박물관은 이집트 경제의 핵심 먹거리인 ‘관광산업 부활’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집트는 2011년 호스니 무바라크 전 대통령을 축출한 ‘아랍의 봄’ 이후 정치적 혼란 등을 겪으며 관광산업이 크게 위축됐다. 이집트 당국은 “GEM이 정식 개관하면 하루 방문객 1만5000명, 연간 500만 명이 카이로를 찾을 것”이라며 GEM에 거는 기대가 엄청나다. GEM 입장료는 외국인 기준 성인 1명당 1450이집트파운드(약 4만4000원)로 책정됐다.
● “로제타석, 이집트로 돌아와야”
이집트 밖에서도 약탈 문화유산 반환을 지적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중국 관영 영자지 글로벌타임스는 3일 사설에서 “이집트 학자들은 로제타석 등 고대 이집트의 주요 유물 반환을 영국박물관에 여러 차례 요청했으나 돌려받지 못하고 있다”며 “선진국이 유물을 더 잘 보호할 수 있단 주장은 문화 약탈을 ‘문명적 박애’로 포장한, 문화 주권 박탈”이라고 비판했다.
빼앗긴 문화유산을 고국에 돌려줘야 한다는 움직임이 세계적으로 확산하면서 이집트도 일부 유물을 돌려받긴 했다. 2021년 각국에 흩어져 있던 문화유산 5300여 점이 이집트의 품에 안겼다. 하지만 ‘로제타석’(영국박물관)과 ‘덴데라 천궁도’(루브르박물관), ‘네페르티티 흉상’(베를린 신박물관) 등 굵직한 문화유산은 여전히 고향으로 돌아오지 못하고 있다.
곽민수 소장은 “GEM 개관을 계기로 문화유산 반환 주장이 더욱 탄력을 받을 것”이라며 “당장 핵심 유물이 이집트로 옮겨지진 않더라도, 영구 임대나 소유권 이전 등의 방식으로 조금씩 변화의 움직이 나타날 것으로 기대한다”고 내다봤다.
이지윤 기자 leemail@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

6 hours ago
6
!["택시에 토했잖아"...만취 승객 노려 돈뜯어낸 기사 '철퇴'[별별 이야기]](https://img.hankyung.com/photo/202511/01.42315286.1.jpg)
















English (U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