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일강 7000년 품은 이집트 대박물관, 세계의 눈을 사로잡다

6 hours ago 6

[토요기획] 세계 최대 규모 ‘이집트 대박물관’ 개관, 연면적 49만 ㎡… 축구장 70개 규모
美 CBS “전부 보는 데 70일 걸려”… ‘투탕카멘의 황금 마스크’ 등 공개
1992년부터 구상해 33년 만에 완공… 1조4400억 투입 대규모 프로젝트
이집트 관광산업 부흥 신호탄 역할… 로제타석 등 약탈 문화재 환수 기대

《‘세계 최대’ 이집트 대박물관 주요 유물은

‘투탕카멘 컬렉션’부터 ‘태양의 배’까지…. ‘세계 최대’ 이집트 대박물관이 4일(현지 시간) 기자 대피라미드 근처에 문을 열었다. 공사를 시작한 지 20년 만이다. 역사 마니아들을 설레게 할 간판 유물들을 둘러봤다.》


이집트 카이로 기자의 대피라미드 인근에 세워진 이집트 대박물관(GEM)이 4일(현지 시간)부터 일반 관람객에게 전면 공개됐다. 이 박물관은 단일 문명에 헌정된 세계 최대의 고고학 시설로 꼽힌다. 이집트 대박물관 제공

이집트 카이로 기자의 대피라미드 인근에 세워진 이집트 대박물관(GEM)이 4일(현지 시간)부터 일반 관람객에게 전면 공개됐다. 이 박물관은 단일 문명에 헌정된 세계 최대의 고고학 시설로 꼽힌다. 이집트 대박물관 제공
“꼼꼼히 다 보려면 24시간 잠을 안 자도 70일쯤(70 sleepless days) 걸릴 수도 있다.”(미국 CBS방송)‘세계 최대 박물관’ 이집트 대박물관(GEM·Grand Egyptian Museum)이 오랜 기다림 끝에 4일(현지 시간) 드디어 일반에 공개됐다. 2005년 공사에 돌입한 지 꼬박 20년 만이다. 이집트 카이로 기자의 대피라미드에서 2km가량 떨어진 곳에 자리 잡은 GEM은 연면적이 약 49만 ㎡로, 축구장 70개 규모에 이른다. 바티칸 시국(약 44만 ㎡)을 넘어서는 크기다.

GEM은 7000년 이집트 역사가 깃든 보물이 가득해 역사 마니아들에겐 ‘꿈의 성지’로 꼽힌다. 1일 열린 개관식에서 압둘파타흐 시시 이집트 대통령은 “인류 역사 이래 나일강 유역에 살아온 사람들의 삶을 담아낸 박물관”이라며 “인간적 가치를 믿는 모든 이들에게 등불이자 대화의 장, 지식의 중심이 되길 바란다”고 기대감을 표했다.

● 사상 첫 ‘투탕카멘 컬렉션’ 모두 공개

투탕카멘의 황금 마스크. 이집트 대박물관 제공

투탕카멘의 황금 마스크. 이집트 대박물관 제공
GEM에 전시되는 이집트 유물은 기원전 3100년 전 초기왕조 시대부터 로마의 속주가 된 이후 시대까지 광범위하게 아우른다. 유물 수만 10만 점에 이른다. 특히 오늘날 이집트가 “아랍권이나 북아프리카 문화에 완전히 동화되지 않고 특별한 정체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뿌리”인 고대 유물이 풍부하게 전시됐다. 입구에 들어서면 박물관 중심부 6층 높이 대형 계단(Grand Staircase)으로 가는 길목에서 거대한 람세스 2세 석상(높이 11.35m)이 관람객을 맞는다. 박물관의 하이라이트는 단연 사상 최초로 전면 공개되는 ‘투탕카멘 컬렉션’. 고대 이집트에서 최고 전성기로 꼽히는 제18왕조의 12대 파라오 투탕카멘(재위 기원전 1334년∼기원전 1325년 추정) 무덤에서 발견된 유물 5000여 점을 면적 7500㎡ 전시장에 모았다. 이 컬렉션이 전부 전시되는 건 1922년 영국 고고학자 하워드 카터와 이집트 발굴가 하신 압둘 라술이 무덤을 발굴한 이래 처음이다. 컬렉션의 간판 유물은 투탕카멘 하면 떠오르는 ‘투탕카멘의 황금 마스크’다. 이집트의 국보 1호 격으로, 저승의 지배자 ‘오시리스’와 태양신 ‘라’를 본떠 투탕카멘의 얼굴을 표현했다. 황금 11kg과 터키석, 청금석 등 보석류로 다채롭게 장식됐다.

김종도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원 중동이슬람센터장은 “앞서 이집트 국립박물관을 대표하는 유물로 전시돼 있다가 최근 GEM으로 옮겨왔다”며 “사후 영생을 꿈꾼 고대 이집트인들이 빚은 예술적 화려함의 극치”라고 평했다. 이 밖에 황금으로 된 왕좌와 샌들, 미라를 만들 때 내장을 담던 대리석 항아리 등도 관람객을 사로잡을 문화유산들이다.

4500년 전 쿠푸 왕의 ‘태양의 배’도 이번 정식 개관을 통해 4년여 만에 모습을 드러냈다. 지금까지 확인된 세계 고대 선박 가운데 가장 오래되고 거대한 유물로 꼽힌다. 현재 복원된 배는 길이 43m에 무게가 20t에 이른다. 박물관 측은 “파라오가 죽은 뒤 나일강 서편 저승으로 향하는 마지막 항해에 이 배를 사용할 것으로 고대인들은 믿었다”며 “1950년대 발굴 당시 못질 없이 정교하게 짜맞출 수 있는 1200여 개의 나무 조각으로 발견됐다”고 설명했다.

파라오 제르의 석비

파라오 제르의 석비
비교적 최근에 발굴된 카이로 근교 사카라 유적 출토품들도 전시돼 눈길을 끈다. 곽민수 한국이집트학연구소장은 “사카라 유적은 이집트 문명 초창기인 초기왕조 시대부터 문명이 끝나는 그레코로만 시대까지 공동묘지구역으로 사용된 곳”이라며 “2022년 보존 상태가 완벽한 프톨레마이오스 시대 ‘사자의 서(Book of the Dead)’가 발견되기도 했다”고 설명했다.신왕국 시대 수도였던 테베(현 룩소르) 인근 아사시프 유적에서 발견된 기원전 7세기 채색 관(棺) 31구도 빼놓을 수 없다. 2019년 발굴 당시 제사장과 귀족의 미라가 담긴 채 비교적 온전한 상태로 발굴돼 세계의 이목을 모았다.

● 공사만 20년 “옛 영광 되찾으려는 의지”

서기관 미트리 목조상

서기관 미트리 목조상
이집트인들도 ‘꿈의 박물관’으로 부르는 GEM은 건립 구상이 처음 논의된 1992년부터 따지면 개관에 무려 33년이 걸린 셈이다. 2002년 이집트 기자에 박물관의 기초석이 놓였고, 2005년 착공했지만 정치적 혼란과 예산 확보 등으로 인해 본관 건물은 2012년에야 겨우 공사가 시작됐다.

칼리드 압델라흐만 주한 이집트 대사는 “당초 2022년에 개관하려 했으나 팬데믹과 중동 전쟁 등으로 인해 거듭 미뤄졌다”며 “총 10억 달러(약 1조4400억 원)가 투입된 대규모 프로젝트로, 예산의 80%(약 8억 달러)를 일본국제협력기구(JICA)가 댔다”고 했다. JICA는 유물 보존과 복원, ‘제2의 태양의 배’ 조사 연구를 위한 기술 협력도 제공하고 있다. 박물관 지하 10m엔 1만230㎡ 규모의 복원센터와 3400㎡ 규모 수장고가 마련됐다.

우크호텝의 장례용 배 모형

우크호텝의 장례용 배 모형
이집트 정부가 ‘허리가 휘어가며’ 성대한 박물관을 짓고자 애쓴 이유는 뭘까. 김종도 센터장은 “오늘날엔 경제적으로 다소 뒤처졌지만, 7000년 역사가 흐르는 나일강 문명에 대한 민족적 자부심이 엄청나다”며 “로마 제국부터 영국까지 오랜 식민 지배를 겪으면서 핍박받은 역사가 길다 보니, 인류 초기 문명국의 영광을 되찾아야 한다는 의지가 강했다”고 했다.

박물관은 이집트 경제의 핵심 먹거리인 ‘관광산업 부활’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집트는 2011년 호스니 무바라크 전 대통령을 축출한 ‘아랍의 봄’ 이후 정치적 혼란 등을 겪으며 관광산업이 크게 위축됐다. 이집트 당국은 “GEM이 정식 개관하면 하루 방문객 1만5000명, 연간 500만 명이 카이로를 찾을 것”이라며 GEM에 거는 기대가 엄청나다. GEM 입장료는 외국인 기준 성인 1명당 1450이집트파운드(약 4만4000원)로 책정됐다.

● “로제타석, 이집트로 돌아와야”

덴 데라 보물 컬렉션

덴 데라 보물 컬렉션
GEM이 문을 열면서 이집트가 서구에 약탈당한 문화유산을 돌려받을 중요한 계기가 마련됐다는 의견도 나온다. GEM이 최상급 전시 및 보존 환경 등을 갖췄기에, 그간 서구 국가들이 “어차피 돌려줘도 관리 역량 없지 않느냐”며 차일피일 돌려주길 보류했던 핑곗거리가 사라졌기 때문이다. 이집트 국영 매체인 알하람 위클리는 “GEM은 루브르나 영국박물관의 복제본이 아니다”라며 “두 박물관은 제국주의가 만든 산물이지만, 이 박물관은 진정성이 낳은 결과”라고 했다.

이집트 밖에서도 약탈 문화유산 반환을 지적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중국 관영 영자지 글로벌타임스는 3일 사설에서 “이집트 학자들은 로제타석 등 고대 이집트의 주요 유물 반환을 영국박물관에 여러 차례 요청했으나 돌려받지 못하고 있다”며 “선진국이 유물을 더 잘 보호할 수 있단 주장은 문화 약탈을 ‘문명적 박애’로 포장한, 문화 주권 박탈”이라고 비판했다.

빼앗긴 문화유산을 고국에 돌려줘야 한다는 움직임이 세계적으로 확산하면서 이집트도 일부 유물을 돌려받긴 했다. 2021년 각국에 흩어져 있던 문화유산 5300여 점이 이집트의 품에 안겼다. 하지만 ‘로제타석’(영국박물관)과 ‘덴데라 천궁도’(루브르박물관), ‘네페르티티 흉상’(베를린 신박물관) 등 굵직한 문화유산은 여전히 고향으로 돌아오지 못하고 있다.

곽민수 소장은 “GEM 개관을 계기로 문화유산 반환 주장이 더욱 탄력을 받을 것”이라며 “당장 핵심 유물이 이집트로 옮겨지진 않더라도, 영구 임대나 소유권 이전 등의 방식으로 조금씩 변화의 움직이 나타날 것으로 기대한다”고 내다봤다.

이지윤 기자 leemail@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