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스타in 이석무 기자] 여자 유도 중량급 간판 김하윤(세계랭킹 5위·안산시청)이 한국 여자 선수로는 34년 만에 세계유도선수권대회 여자 최중량급에서 정상에 등극했다.
![]() |
34년 만에 세계유도선수권대회에서 여자 최중량급 금메달을 차지한 김하윤. 사진=AFPBBNews |
김하윤은 20일(한국시간)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열린 2025 국제유도연맹(IJF) 세계선수권대회 여자 78㎏ 이상급 결승에서 일본의 아라이 마오(세계 7위)를 반칙승으로 누르고 금메달을 차지했다.
이로써 김하윤은 한국 선수로서 1991년 스페인 바르셀로나 대회에서 우승한 문지윤(72kg 이상급) 이후 한국 선수로서 34년 만에 세계선수권대회 여자 최중량급 정상에 오르는 주인공이 됐다.
아울러 지난해 세계선수권대회 동메달을 딴 김하윤은 2년 연속 시상대에 올랐다.
김하윤은 준준결승에서 대표팀 후배 이현지(세계 4위·남녕고)를 반칙승으로 꺾었다. 이어 준결승에선 세계 1위인 프랑스의 로만 디코를 연장 접전 끝에 반칙승으로 이기고 결승 티켓을 거머쥐었다.
결승 상대는 일본의 신예인 아라이였다. 김하윤은 초반부터 적극적으로 잡기 싸움을 벌이면서 아라이를 압박했다. 반면 아라이 방어에 급급했다.
두 선수 모두 경기 시작 후 1분 38초에 소극적인 플레이로 지도 1개씩을 주고받았다, 이어 아라이는 경기 시작 2분 24초에 방어 자세 반칙으로 두 번째 지도를 받았다. 김하윤의 적극적인 공세가 효과를 봤다.
김하윤과 아라이는 정규 시간 4분 동안 승부를 가리지 못했다. 곧바로 시간제한 없이 겨루는 연장전에 돌입했다. 김하윤은 연장전 41초에 아라이와 함께 지도를 받았다.
유도에선 지도 3개가 나오면 상대방이 반칙승을 거둔다. 김하윤은 두 번째 지도인 반면 아라이는 세 번째 지도를 받으면서 김하윤의 승리가 확정됐다.
김하윤은 한국 여자 유도의 간판스타다, 특히 큰 대회에서 유독 강한 모습을 보여왔다. 2023년 9월에 열린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에서 금메달을 획득한데 이어 지난해엔 세계선수권대회와 파리 올림픽에서 잇따라 동메달을 따냈다.
특히 파리올림픽 동메달은 2000년 시드니 대회에서 김선영이 동메달을 딴 이후 24년 만에 나온 한국 여자 유도 최중량급 메달이었다.
기대를 모았던 이현지는 패자전 동메달 결정전에 진출해 네덜란드의 마릿 캄프스(세계 9위)를 허리 대돌리기 한판으로 꺾고 동메달을 획득했다.
지난해 주니어 세계선수권대회 우승을 차지하면서 ‘차세대 에이스’로 떠오른 이현지는 올해 처음으로 출전한 시니어 세계선수권대회에서 시상대에 오르는 기염을 토했다.
지난해 세계선수권대회 남자 최중량급에서 우승을 차지했던 김민종(세계 3위·양평군청)도 동메달을 획득했다.
김민종ㅇㄴ 남자 100㎏ 이상급 준결승에서 조지아의 구람 투시슈빌리(세계 4위)에게 모로떨어뜨리기 한판패해 결승 진출이 무산됐다.
하지만 동메달 결정전에서 타멜란 바샤예프(세계 9위·러시아 출신 개인중립선수)를 연장 접전 끝에 오금대떨어뜨리기 절반으로 누르고 메달을 목에 걸었다.
2023 파리 올림픽 결승에서 김민종을 꺾고 금메달을 획득한 유도 전설 테디 리네르(세계 7위·프랑스)는 이번 대회에 출전하지 않았다.
한국 대표팀은 이번 대회 개인전을 금메달 1개, 동메달 3개, 종합 6위로 마무리했다. 남자 81㎏급 세계 1위 이준환(포항시청)은 동메달을 획득했고, 지난해 금메달을 찾지했던 여자 57㎏급 허미미(세계 5위·경북체육회)는 메달 획득에 실패했다.
대표팀은 21일에 열리는 단체전에 출전한 뒤 귀국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