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에세이] '보이지 않는 손' 다시 해석하기

3 hours ago 2

[한경에세이] '보이지 않는 손' 다시 해석하기

최근 지인의 추천으로 애덤 스미스의 저서 <도덕감정론>을 읽었다. 애덤 스미스는 1776년 유명한 <국부론>을 출간했고 그 이전인 1759년 <도덕감정론>을 펴냈다. <국부론>은 많이 알려졌지만 <도덕감정론>은 상대적으로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우리는 애덤 스미스 하면 <국부론>과 ‘보이지 않는 손’을 자연스럽게 떠올린다. 그는 이 두 저서에서 공통으로 ‘보이지 않는 손’을 언급했지만 해석에는 차이가 있다.

<국부론>에서는 인간이 이기심을 통해 자기 이익을 추구하는 경제활동을 하면 경제가 발전한다고 봤다. 여기서 자기 이익을 추구하는 마음은 다른 사람의 이익을 해치면서 자기 욕심을 채우는 것(selfishness)과 다른 사람의 이익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정당한 이익을 얻는 행위(self-interest)로 구분된다. 둘 다 흔히 이기심으로 해석된다.

<도덕감정론>에서 애덤 스미스는 인간 본성을 공감(sympathy)으로 보고 <국부론>에서의 이기심과 대비되는 개념으로 이를 언급했다. 공감은 자기 행동이 타인의 마음을 얼마나 얻을 수 있는지를 중심에 둔다. <국부론>에서 얘기한 이기심이 후자의 개념일 때 다른 사람의 동의를 얻을 수 있다. 즉 애덤 스미스는 이기심이 다른 사람의 공감대를 형성할 때 그것이 공익(公益)으로 발전한다고 봤다. 오늘날 ‘보이지 않는 손’은 시장에서 형성되는 가격 결정 논리로 인식되지만, 여기에는 개인의 이익 추구 행위가 ‘보이지 않는 손’에 의해 공익으로 연결된다는 의미도 함께 숨겨져 있다. 이를 반영하듯 시중에는 <애덤 스미스의 따뜻한 손>이라는 제목으로 발간된 책도 있다.

우리가 경제학 교과서에서 배운 ‘자기 이익을 추구하는 이기심’은 사실 타인의 이익을 해치지 않는 것을 전제로 한다. <도덕감정론>을 이해한 후 <국부론>을 재해석해 보면 기업의 이윤 추구는 다른 사람의 이익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뤄져야 하며 이것이 곧 공익을 추구해야 하는 이유가 된다.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주지 않을 때 기업의 이윤이 정당화된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 나아가 사회 공헌이 중요해지는 대목이다.

금융은 신뢰를 가장 큰 덕목으로 삼는다. 다른 사람에게 손해를 입히면서까지 이익을 챙긴다면 스스로 신뢰를 무너뜨리는 격이 된다. 일반적으로 금융회사는 다른 민간 기업에 비해 공공성을 많이 강조한다. 금융회사들은 정의, 공정, 공감, 포용, 배려 등을 통해 사회적 가치를 향상시키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으며 다양한 사회공헌 활동을 한다. 지난해 기준으로 은행연합회 회원사의 사회공헌 지출은 1조8934억원으로 전년 대비 15.8% 증가해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주변을 살피며 함께 성장할 토대를 마련해 사회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견인하는 역할이 점차 중요해지고 있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