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이 자국 희토류 기업인 MP머티리얼스로부터 5억 달러(약 7000억원) 규모의 희토류 자석을 구매하기로 15일(현지시간)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글로벌 기업들에게 미국으로 공급망 이전을 압박한데 따른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MP머티리얼스는 애플과의 구매 계약에 따라 캘리포니아 공장에서 가공한 희토류 원재료를 텍사스 공장으로 보내 자석을 만든 뒤 2027년부터 애플에 공급할 예정이다. 애플이 공급받은 희토류 자석은 아이폰에서 진동·촉감을 전달하는 햅틱 엔진을 비롯해 애플 기기의 오디오 장비나 마이크 제조에 쓰인다. 양사는 구체적인 계약 기간은 공개하지 않았으나, 애플은 해당 계약을 ‘다년간 계약(multiyear deal)’이라고 설명했다. MP머티리얼스는 이날 미 증권거래위원회(SEC) 공시를 통해 애플이 선수금으로 2억달러(약 2700억원)를 지급할 것이라고 밝혔다.
애플의 이번 계약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자국으로 공급망을 이전한 것을 압박하는 가운데 나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동안 애플을 겨냥해 공급망 이전을 촉구하며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를 직접 거론하기도 했다. 애플은 그동안 중국 바오터우 등 아시아 국가들의 희토류 업체들로부터 자석을 공급받아왔다. 애플은 최근 생산 기지도 중국에서 인도와 베트남 등 타 아시아 국가로 다변화하고 있으나 미국 내 투자는 상대적으로 소홀했다.
애플이 자국 업체와 구매 계약을 체결한 배경엔 중국의 ‘희토류 무기화’도 있다.
중국은 지난 10년 이상 거대한 광산과 효율적인 제조 역량에 힘입어 글로벌 희토류 자석 시장에서 독점적인 지위를 누려왔다. 중국의 희토류 역량은 미·중간 긴장 고조 시 대미 압박 카드로 변했다. 지난 4월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산 제품에 ‘관세 폭탄’을 안기자 중국 정부가 희토류 자석 수출 통제 조치로 맞받은 것이 대표적이다. 이후 미중간 협상으로 희토류 자석 공급은 재개됐으나 글로벌 기업들은 향후 생산 차질 위험을 우려해 공급망 다변화를 시도 중이다.
WSJ는 “많은 기업들이 중국에 또다시 휘둘리지 않기 위해 공급망을 재검토하고 서방 지역에서 새 공급처를 확보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