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순수 생산기술 및 가뭄에 대응하기 위한 해수담수화 관련 산업 육성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한국초순수담수화학회가 출범했다.
12일 초순수담수화학회는 한국수자원공사 한강유역본부에서 창립총회와 기념식을 열었다고 밝혔다. 이번에 출범한 초순수담수화학회는 기존 한국초순수학회와 한국해수담수화협회가 시너지 효과를 기대하며 새로 시작하는 학회다.
이날 총회에서 초대 학회장으로 선출된 남궁은 서울대 교수는 “대한민국의 수출 주력 산업인 반도체 등 첨단 산업에서 사용하는 초순수는 기존의 정수, 하폐수 처리 기술과 달리 수처리 산업 중 최고의 기술 난이도가 요구되는 분야이지만 한국의 초순수 생산 기술은 현재 외국기술의 의존도가 높은 현실”이라고 학회 창립 배경을 밝혔다. 남궁 교수는 “향후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구축시 새로운 사업 기회가 열릴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기념식에는 한정애 더불어민주당 의원, 김효정 환경부 물이용정책관, 허탁 한국환경한림원 회장, 곽결호 전 환경부 장관 등이 참석했다.
기념식 주제 발표에서는 이경혁 명지대 교수가 초순수 기술 동향 및 시장 전망을 주제로 발표했다. 이상호 국민대 교수는 해수 담수화 글로벌 기술 동향 및 전망을 발표했고, 홍승관 고려대 에너지환경대학원장은 반도체 산업폐수 재이용 기술 동향 및 시장 전망을 발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