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은행에 돈 맡겨도 될까”…경기 침체 직격탄에 연체율 1% 넘었다

9 hours ago 1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지방은행들의 연체율과 대손충당금이 수년래 최고 수준으로 상승하고 있으며, 올해 1분기 대손충당금 적립 잔액은 2조2551억원에 달했다.

기업 대출 연체율은 평균 1.04%로 1%를 초과하며, 이는 9년여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다.

지방은행들은 부실채권을 매각하며 리스크 관리를 시도하고 있으나, 지방 경제 상황 악화로 인해 건전성이 지속적으로 악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사진은 기사와 직접 관련 없음. [사진 = 연합뉴스]

사진은 기사와 직접 관련 없음. [사진 = 연합뉴스]

지방 경기가 날로 악화되는 가운데 지방은행들의 연체율과 대손충당금이 수년래 최고 수준으로 치솟고 있다.

27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방은행 5곳(부산·경남·전북·광주·iM뱅크)의 올해 1분기 대손충당금적립잔액은 2조2551억원에 달했다. 코로나19가 본격화되기 직전인 2020년 1분기(1조1519억원)보다 배 가까이 늘어난 규모다. 2023년까지 1조원대를 유지하던 대손충당금은 지난해 2조원대로 불어난 뒤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지방 경기가 악화하면서 은행들이 부실이 커질 것으로 예상하고 대손충당금 규모를 늘리고 있는 셈이다.

사진설명

지방은행의 기업 대출 연체율이 빠르게 상승하는 영향이 크다. 올해 1분기 말 5개 지방은행의 평균 기업대출 연체율은 1.04%로 1%를 넘어섰다. 전년 동기(0.65%)와 비교하면 0.4%포인트 급증했으며 절대 수준 자체도 2016년 3분기(1.14%) 이후 9년여 만에 최고다. 지방은행의 기업대출 연체율은 2022년 0.32%까지 하락하기도 했으나 이후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올 1분기 말 기준 지방은행의 기업대출 잔액은 127조원가량이다.

은행별로는 전북은행이 1.53%로 가장 높다. 이어 iM뱅크 1.32%, 광주은행 0.96%, 경남은행 0.7%, 부산은행 0.65% 순이다. iM뱅크의 경우 1년 전(0.72%)보다 기업대출 연체율이 배 가까이 높아졌다. 부산은행이 지방은행 중에서는 가장 낮지만 이 역시 올 1분기 4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의 기업 대출 평균 연체율(0.39%)보다는 큰 폭으로 높은 수준이다.

가계까지 포함한 전체 대출 연체율도 1.01%로 1%를 넘어섰다. 전년 동기(0.78%)대비 0.23%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기업과 가계에서 모두 어려운 상황에 내몰리고 있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지방은행들이 연체율 관리를 위해 적극적으로 부실을 떨쳐내고 있지만 건전성은 계속 악화되고 있다. 5대 지방은행은 올해 1분기에만 이미 4476억원어치의 부실채권을 상·매각했다. 이는 전년 동기(3763억원)보다도 늘어났으며 5년 전(952억원)에 비해서는 거의 5배 가까이 증가했다. 시중은행들도 건전성 관리를 위해 부실채권 매각에 적극적으로 나선 상황에서 상·매각 수요가 줄어들면 이마저도 어려워질 공산이 크다.

지방은행 관계자는 “지방 경제가 상황이 너무 안 좋다보니 부실이 자꾸 늘어나 부실채권 상·매각을 통해 털어내면서 리스크 관리하고 연체율을 줄이곤 있지만 불어나는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이어 “앞으로 경기가 좋아질 거라는 전망보다는 나빠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상당히 우려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당분간 지방 경기가 회복될 가능성도 높지 않은 상황이다. 법원통계월보에 따르면 지난해 수도권 지역외 지방법원에서 접수된 법인파산 건수는 555건으로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257건보다 훨씬 많았다.

지방은행들의 상황은 올해 1분기 성적표에도 적나라하게 반영됐다. 부산은행과 경남은행은 당기순익이 각각 전년 동기 대비 31%씩 감소했다. 전북은행과 광주은행도 8%씩 쪼그라들었다. 아이엠뱅크도 2.6% 당기순익이 줄었다.

한편 지방은행들은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금융당국에 충당금 관련 규제를 완화해주는 것과 영업 여건 개선을 위해 지역 소재 공공기관의 지방은행 거래 비율을 일정 수준 이상 의무화하는 방안을 도입할 것을 요구한 바 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