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보 우리도 수도권 아파트 하나 마련할까?”…갭투자 관심 높아진 ‘이 동네’

2 weeks ago 9

부동산

“여보 우리도 수도권 아파트 하나 마련할까?”…갭투자 관심 높아진 ‘이 동네’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전국 아파트 전세가율이 68.1%로 집계되며, 이는 2022년 12월 이후 최고치로, 전세 시장의 부담이 커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특히, 전북 지역의 전세가율이 79%로 가장 높았고, 수도권 지역에서는 서울이 53.9%로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를 기록하였으나, 70%를 넘는 지역들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전문가는 수도권의 중소형 아파트에 대한 수요가 앞으로 더욱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에서 바라본 강남 아파트 단지 모습. [사진 = 뉴스1]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에서 바라본 강남 아파트 단지 모습. [사진 = 뉴스1]

아파트 전세에 비해 매매 시장의 상대적 부진이 이어지면서 전국 아파트 전세가율이 27개월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8일 분양평가 전문회사 리얼하우스가 한국부동산원의 전세가율을 분석한 결과 지난 3월 전국 아파트 전세가율은 68.1%로 집계됐다. 이는 2022년 12월 이후 최고치다.

전세가율은 매매가격 대비 전세값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다. 즉 전세가율이 높아진다는 것은 전세값이 매매가격에 비해 높아진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전세 세입자 입장에서 부담이 커지는 것을 뜻함과 동시에 매매와의 가격 차이가 줄어들면서 실수요자들의 매매 전환 심리를 자극하게 되는 것이다.

지역별 아파트 전세가율을 살펴보면 전북 지역이 79%로 가장 높았고, 충북이 78.4%로 뒤를 이었다. 광역시 지역에서는 대전 70.9%, 울산 73.2%로 전세가율이 70%를 웃돌았다. 그 외 대구 68.9%, 부산 65.9% 등이다.

수도권 지역의 아파트 전세가율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수도권을 지역별로 보면 서울이 53.9%, 경기 65.8%, 인천이 67.9% 등이다.

다만 수도권 지역에서도 전세가율이 70%를 넘어서는 지역은 점차 늘어나고 있는 모양새다. 남양주, 이천, 여주, 안성, 파주, 인천 동구, 미추홀구 등의 지역에다 경기 평택, 광주, 일산 지역도 최근 전세가율이 70%를 넘어서면서다.

남양주시에서는 두산건설이 ‘두산위브더제니스 평내호평역 N49’를 공급하고 있다. 해당 단지는 평내호평역을(경춘선) 도보로 이용할 수 있는 초역세권 입지에 위치해 서울 접근성이 뛰어나다. 고양시의 경우 포스코이앤씨와 한화 건설부문 컨소시엄이 시공하는 ‘더샵 포레나’가 공급 중이다. 이 단지는 GTX-A, 교외선, 고양은평선 등 광역 교통망 확충의 수혜지로 꼽힌다. 인천 부평구에서는 이달 ‘십정3구역 파라곤‘이 분양을 앞뒀다. 동양건설산업이 시공하는 이 단지는 서울지하철 1호선 동암역을 통해 서울 접근성이 용이하다.

김선아 리얼하우스 분양분석팀장은 “문재인 정권 초기에도 전세가율이 70%을 넘어설 정도로 높았고. 높은 전세가는 집값 상승의 불쏘시개 역할을 했다”며 “앞으로 수도권의 전세가율이 높은 지역 중소형 아파트에 관심을 가져볼 만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