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갤럽이 21일 공개한 여론조사에서 국민의힘과 민주당 지지율은 각각 34%, 40%였다. 1주일 전보다 국민의힘은 5%포인트 내려갔고, 민주당은 2%포인트 올랐다. 눈에 띄는 것은 중도층의 변화다. 중도층의 국민의힘 지지율은 22%, 민주당 지지율은 42%였다. 1주일 사이에 5%포인트 격차에서 20%포인트 격차로 벌어진 것이다. 한국갤럽은 “백중세이던 양당 지지율에 모종의 균열이 생겼다”고 평가했다.
국민의힘 지지율은 12·3 비상계엄 이후 롤러코스터처럼 움직였다. 계엄 직후엔 20%대 초반까지 떨어졌다가 한덕수 권한대행 탄핵과 윤석열 대통령 체포 정국을 거치며 반등했다. 이후 여야 지지율이 엎치락뒤치락하며 정체 양상을 보이더니 중도층을 중심으로 민주당이 앞서는 양상인 것이다.
정권 교체 여부에 대해서도 교체 53%, 유지 37%였는데 중도층만 보면 교체 62%, 유지 27%로 정권 교체 응답이 2배 이상 높았다. 하루 전 전국지표조사(NBS)에서도 정권 교체 49%, 정권 재창출 40%였는데 중도층에선 55%, 29%로 정권 교체 의견이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갤럽조사의 탄핵 찬반 여론은 각각 60%, 34%였다. 중도층만 놓고 보면 69%와 25%로 격차가 더 커졌다.
이런 여론 흐름의 미묘한 변화에 대해 갤럽은 “이번 주 대통령 측 주장에 반하는 검찰조서 내용이 새롭게 공개됐고, 명태균 사건이 다시 이목을 끈 것이 여당에 부담이 됐다”고 분석했다. 특히 중도층의 국민의힘 이탈 조짐은 그동안 극우 세력을 중심으로 한 광장의 탄핵 반대 여론에 기대 왔던 국민의힘 측엔 우려스러운 시그널이 아닐 수 없다. 보수 강성 지지층의 결집으로 국민의힘이 계엄 이전의 정당 지지율을 회복하는 듯했으나 결국 그 한계를 드러내는 국면에 봉착한 걸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번 조사에서 국민의힘 지지율과 탄핵 반대 응답이 똑같이 34%였던 것도 이와 무관치 않아 보인다.그동안 극우 성향 인사들이 주도하는 대규모 집회가 주말마다 열렸고, 여기에 국민의힘 의원이 다수 참여했다. 게다가 이들 집회에선 “부정선거에 중국인이 개입했다” 등 중도층이 선뜻 수긍할 수 없는 황당한 주장들이 쏟아졌다. 이런 극우세력에 대한 중도층의 거부감과 견제 심리가 이번 조사에 반영된 것이란 지적이 나온다. 윤 대통령은 친구 변호인을 통해 “빨리 (대통령) 직무에 복귀하겠다”는 메시지를 내놨지만 여권에 지금 ‘극우 편승 청구서’가 날아들고 있는지도 모른다.
-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