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 선포 이유로 ‘부정선거’를 언급하면서 강성 보수층 내 부정선거 음모론이 힘을 얻는 가운데,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부정선거 의혹 반박 영상에 출연한 오상진 전 MBC 아나운서가 불똥을 맞았다.
26일 각종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오상진이 전체 공개이던 자신의 SNS를 비공개로 전환했다는 글이 속속 올라왔다.
오상진은 지난해 부정선거 의혹에 반박하는 선관위 영상에 출연했다. 최근 부정선거 음모론이 다시 언급되면서 강경 보수층이 그의 SNS에 ‘댓글 테러’를 자행하자 임시 대처한 것으로 해석된다.
논란이 된 영상은 선관위가 형상기억종이 논란을 반박하는 차원에서 올린 영상이다. 형상기억종이는 접힌 흔적이 없는 빳빳한 투표용지가 발견되면서 나온 용어로, 일각에선 해당 용지가 특수 기술로 제작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나왔다.
의혹 제기자들은 투표용지가 투표부터 개표까지 여러 사람의 손을 타면서도 빳빳한 상태를 유지하는 게 말이 안 된다며 부정선거의 증거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선관위는 선거인의 투표지 접는 방식이 다양하며, 개표소에서 투표지를 펴서 정리하는 과정이나 보관 기간 등에 따라 시간이 경과하면서 접힌 자국이 완화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선관위 영상에서는 오상진이 “투표용지는 분류 시 종이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종이가 접힌 후 원상태로 회복하는 기능이 적용된 특수 재질을 사용하고 있다”며 “접힌 자국이 없는 투표지가 돈다발처럼 묶여 다량 발견된 것이 선거 결과 조작의 증거는 될 수 없다”고 소개하기도 했다.
이를 본 일부 보수층은 온라인 커뮤니티에 “오상진의 흑역사”, “저걸 믿으라고 찍은 건가”, “돈 받고 대본대로 찍은 거겠지” 등의 댓글을 달았다.
최근 이 영상이 다시 화제가 되면서 오상진 개인 SNS에도 “와 맛있겠다. 혹시 형상기억 특수 재질로 만든 거냐”, “형상기억 이용해 음식을 펴신 건가. 종이도 펴진다면 이것도 가능할 것 같다” 등의 조롱성 댓글이 올라왔다.
선관위는 현재 해당 영상을 삭제한 상태다. 선관위는 “‘투표지에 접힌 흔적이 없다’는 다수 민원 내용에 대한 우리 위원회의 답변내용 중 일부로, ‘투표용지는 상대적으로 복원력이 좋은 특수용지를 사용한다’는 의미로 게시한 것이나, 영상 게시 후 형상기억종이를 투표용지로 사용한다는 오해를 불러 일으켜 해당 영상을 내린 상황”이라고 밝힌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