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전문직·고소득자 등
강남 등 신고가 주역 부상
李정부 출범후 매수 서둘러
강남3구∙용산 매수자중 30대
27.21%...1년반來 가장 높아
수십억 대출 받아 매매 계약해
서울 강남 등 핵심 아파트 시장에서 ‘30대·전문직·고소득자’가 새로운 ‘큰손’으로 부상했다. 주로 의사와 변호사, 사업자 등으로 탄탄한 소득을 기반으로 적게는 10억원 안팎에서 많게는 20억~30억원까지 대출을 받아 강남 아파트 신고가를 만들어내고 있다.
지난 2월 서울시의 토지거래허가구역 일시 해제 때 아파트값 급등을 목격한 30대들이 새 정부 출범을 계기로 더 늦기 전에 주택 매수를 서두르고 있다. 이에 따라 한 주 사이 서울 아파트값 상승률은 올해 최고치를 재차 경신했다.
26일 매일경제가 법원 등기정보광장 자료를 분석한 바에 따르면 지난달 강남3구(강남·서초·송파)와 용산구 부동산 매수자 4432명 중에서 30대 비중은 1206명으로 27.21%를 차지했다. 2023년 11월 이후 가장 높다.
30대 비중은 올 2월만 해도 22.16%였으나 두 달 만에 5%포인트 상승한 반면, 과거 강남 아파트 주요 매수층이었던 40대와 50대는 줄었다.
올해 3월부터 강남3구와 용산구 매매 계약이 체결된 사례를 보면 30대가 수십억 원대 대출을 끼고 ‘강남 아파트’를 쇼핑한 사례가 다수 확인됐다. 1989년생 A씨와 1991년생 B씨 부부는 지난 3월 말 강남구 압구정 신현대 아파트 전용면적 107㎡를 약 15억원 대출을 받아 공동명의로 60억원에 매입했다. 서초구 반포동과 송파구 잠실동 등에서도 30대 매수자가 10억원에서 20억원 사이 대출을 일으킨 사례가 다수 포착됐다.
금융권은 현재 개인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을 40%로 적용하고 있다. 스트레스 DSR 2단계를 적용해 15억원을 대출받으려면(이자율 4%, 만기 30년 가정) 연 소득이 약 2억5000만원에서 3억원은 돼야 한다. 서울시 관계자는 “반포 등 서울 핵심지에서 대출을 크게 일으켜 아파트를 매수하는 상당수는 의사 등 전문직군인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며 “대출 가능 여력 등을 고려하면 10억원 이상은 전문직에서나 가능한 규모”라고 말했다.
한국부동산원이 이날 발표한 6월 넷째주(23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이번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0.43% 오르며 21주 연속 상승했다. 집값 급등기로 꼽히는 2018년 9월(0.45%) 이후 약 7년 만에 최대 상승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