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트럼프 러브콜에도 핵물질 시설 방문 “핵방패 강화”

2 weeks ago 6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29일 “김정은 동지께서 핵물질 생산 기지와 핵무기연구소를 현지지도했다"면서 홍승무 당 군수공업부 제1부부장이 동행했다고 보도했다.  (평양 노동신문=뉴스1)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29일 “김정은 동지께서 핵물질 생산 기지와 핵무기연구소를 현지지도했다"면서 홍승무 당 군수공업부 제1부부장이 동행했다고 보도했다. (평양 노동신문=뉴스1)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핵물질인 고농축우라늄(HEU) 생산시설을 전격 방문해 “핵 대응태세를 무한히 강화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 초반부터 김 위원장에게 대화를 하자는 신호를 공개적으로 보내고 있는 상황에서 이에 호응하지 않고 일단 핵 무력을 포기할 생각이 없다는 기존 방침을 재확인한 것. 김 위원장이 당분간 대화에 응하지 않고 향후 조성될 북-미 협상판을 대비해 핵능력 과시 등으로 ‘몸값 높이기’를 지속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29일 조선중앙통신은 김 위원장이 핵물질 생산기지와 핵무기 연구소를 현지지도하고 현행 핵물질 생산실태와 전망계획, 올해 핵무기연구소의 계획 등을 구체적으로 파악했다고 보도했다. 다만 이 시설들의 위치나 방문 시점 등은 공개하지 않았다. 정부는 이번에 김 위원장이 방문한 핵시설이 지난해 9월 그가 방문했던 평양 인근 강선일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분석 중이다.

김 위원장은 지난해 핵물질 생산부문 등에서 ‘경이적인 생산실적’을 쌓아올렸다면서 “지금의 기세를 더욱 고조시켜 무기급 핵물질 생산계획을 초과수행하고 나라의 핵방패를 강화하는데서 획기적인 성과를 이룩해야 한다”고 했다.

또 사실상 미국을 겨냥해 “힘의 우위를 차지하려는 적대세력들의 도전은 더욱 우심해지고 있다”고 했다. 이어 “세계적으로 가장 불안정하며 가장 간악한 적대국들과의 장기적인 대결이 불가피한 안전환경은 핵방패의 부단한 강화를 필수불가결로 제기한다”며 “우리 국가의 핵대응태세를 한계를 모르게 진화시키는것은 우리가 견지해야 할 확고한 정치군사적 입장”이라고 강조했다. 사실상 미국과 향후 협상에 나서더라도 핵 군축이나 동결이 아닌 비핵화 협상은 없을 것임을 분명히한 메시지라는 해석이다.

신규진 기자 newjin@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