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석 국무총리는 이재명 정부의 우선 과제와 관련해 “앞으로 3∼6개월은 한국 경제의 기본 틀을 규정하는 관세 협정에 대응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총리는 16일 경주에서 진행된 대한상의 하계포럼 기조연설에서 “(현재는) 국제통화기금(IMF 때)보다 더한 위기”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구조적으로 쉽지 않은 상황에 정치적 내란도 겪었다”며 “정치적 내란을 벌인 사람들을 단죄하지 않으면 이 나라는 전 세계로부터 비난받고, 우습게 생각될 것이다. 단죄하지 않을 수 없다”고 강조했다.
김 총리는 특히 복잡한 국제정세 속에서 구체적으로 ‘본질과 상대 의도 읽기’, ‘정책적 영점 이동’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우리나라에 가장 부족한 것이 제국적 사고”라며 “저도 과거 학생운동하고 제국적 국제질서를 비판했던 사람이지만, 때로는 대한민국을 미국의 51번째 주(州)라고 하는 비판이 아니라, 미국이 한국의 14번째 자치단체라고 보는 공격적 관점을 가질 때가 됐다”고도 말했다.
김 총리는 또 오는 10월 경주에서 개최되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와 관련해 “대한민국은 평화와 지식과 문화와 공존의 질서를 제시하는 (세계적인) 주도국가로 갈 수 있다”며 “그것의 시작이 내란을 극복하고 나아가는 K-APEC이 되면 좋겠다”고 했다.
이어 ‘K-APEC’의 의미를 ‘초격차’로 정의하고 그에 대한 지표를 ‘숫자’로 설명한 김 총리는 “APEC이 끝나면 훨씬 많은 관광객이 한국에, 경주에 와야 한다”고 역설했다.
김 총리는 “내주 서울에 가면 ‘APEC 점검 종합회의’를 하려고 한다”며 “APEC이 경주만의 행사가 아니라 국민 모두가 참여하는 행사가 되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김 총리는 전날 1박2일 일정으로 경주를 찾아 APEC 준비 상황을 점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