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쪽의 차가운 공기와 남쪽의 뜨거운 공기가 만나며 생성된 비구름으로 인해 전국 곳곳에서 기록적인 폭우가 쏟아졌다. 하지만 20일 북쪽의 차가운 공기가 물러가고 남쪽에서 올라온 뜨거운 북태평양고기압이 전국을 덮으며 폭우가 그치고 폭염이 찾아왔다. 당분간 큰 비 소식 없이 전국이 무더울 전망이다.
이날 기상청에 따르면 지난 16일부터 폭우가 쏟아진 이유는 서로 성질이 다른 기압계가 충돌했기 때문이다. 북쪽 상공의 절리저기압에서는 차가운 공기가, 남쪽의 북태평양고기압에서는 뜨거운 공기가 지속해서 유입돼 강하게 충돌했다. 이 과정에서 ‘띠’ 모양의 구름대가 형성돼 한 지역에 장기간 머물며 호우가 내린 것이다. 여름철에 북쪽 절리저기압이 오랜 기간 머물면서 우리나라 상공에 차고 건조한 공기가 유입되는 현상은 이례적이다.
지난 16일 이후 1시간에 100㎜ 이상 내린 사례는 17일 충남 서산과 경남 산청군 단성면, 20일 경기 포천시 내촌면 등 총 3건이다. 1시간 강우량이 90㎜대인 경우도 지난 16일 충남 서천 서면, 17일 충남 홍성과 전남 나주, 19일 경남 산청군 시천면과 인천 옹진군 영흥도 등 5건이나 된다. 지난 16일부터 20일 오전 11시까지 경남 산청 시천면에는 최대 약 800㎜의 호우가 내리기도 했다.
하지만 20일 일본 동쪽 해상에 중심을 둔 북태평양고기압이 세력을 확장하고 정체전선이 북상하면서 중부지방도 장마가 종료됐다. 전국에 내려졌던 호우특보는 20일 아침을 기점으로 모두 해제됐다.
북태평양고기압이 우리나라를 완전히 덮은 상태가 이어지면서 남서풍 또는 서풍이 불며 고온다습한 공기가 들어와 무더위가 예상된다. 수증기량 유입이 많은 상황에서 대기 불안정이 커지면서 소나기가 내리는 곳도 있겠다.
월요일인 21일엔 전국적으로 소나기가 내리겠다. 또 내륙 지방을 중심으로 체감온도가 33도까지 오르는 등 낮 최고기온도 34도를 기록해 후텁지근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