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리 1호기 역사속으로…원전 해체株 강세

2 weeks ago 8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고리 원자력발전소 1호기가 국내 상업용 원전 최초로 해체 절차를 시작하면서 원전 해체주 테마가 증시에서 강세를 보였다.

해체 절차와 함께 위드텍, 비츠로테크 등 관련 주식들이 크게 상승하였으며, 고리 1호기의 해체가 글로벌 원전 해체 시장에서 한국의 경쟁력을 높일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번 해체는 약 12년이 소요될 예정이며, 해체 비용은 1조713억원으로 전망된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국내 첫 상업용 원전 해체에
‘오염측정’ 위드텍 장중 상한가
‘500조’ 글로벌 원전해체 시장서
韓 기업 존재감 확장가능성 주목

고리 원자력발전소 1호기가 국내 상업용 원전 최초로 해체 절차를 밟으면서 27일 국내증시에서 원전 해체주 테마가 강세를 보였다.

이날 한국거래소에서 위드텍은 전날보다 25.21% 오른 1만2020원에 거래를 마감했다. 위드텍은 이날 장 중 상한가를 기록했다. 이 기업이 원자력연구원과 함께 개발한 ‘SALT-100’ 장비는 해양 방사능 오염을 고속으로 측정한다.

비츠로테크는 전날보다 12.28% 상승한 9600원에 장을 마쳤다. 비츠로테크는 고온 플라즈마 기술을 이용해 원자력발전소 폐기물을 처리하는 사업을 하고 있다.

이 밖에도 원일티엔아이(5.49%), 우리기술(5.48%), 에스앤더블류(2.55%) 등이 상승세를 보였다.

전날 원자력안전위원회는 고리 1호기의 해체를 승인했다. 한국수력원자력이 지난 2021년 고리 1호기의 해체계획서를 제출한 지 약 4년 만이다.

고리 1호기는 1978년 국내 최초로 상업 운전을 시작했으며, 지난 2017년부터 수명이 다해 운영이 영구 중단됐다.

고리 1호기의 최종 해체에는 약 12년이 소요될 예정이며, 해체 비용은 1조713억원으로 전망됐다.

관련 업계에서는 고리 1호기의 해체를 발판 삼아 한국이 글로벌 원전 해체 시장에서 존재감을 키울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국제원자력기구(IAEA)에 따르면 전 세계에서 해체가 완료된 원전은 25기이며, 해체 경험이 있는 국가는 미국(20기)·독일(3기)·일본(1기)·스위스(1기) 등 4개국뿐이다.

강윤형 하나증권 연구원은 “전 세계에서 영구 정지된 원전은 214기이고, 해체가 완료된 원전은 25기로 11%에 불과하다”며 “향후 500조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되는 글로벌 원전 해체 시장에서 고리 1호기 해체 경험을 쌓은 기업이 해외 시장을 공략할 수 있다는 기대감이 있다”고 분석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