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대통령 “책임 못다한 정부, 사죄”...세월호·이태원 등 대형참사 유족에 사과

8 hours ago 6

정치

李대통령 “책임 못다한 정부, 사죄”...세월호·이태원 등 대형참사 유족에 사과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은 세월호, 이태원 등 참사 희생자 유가족에게 공식 사과하며 국가의 책임을 강조했다.

그는 이 자리에서 생명보다 돈을 중시하는 잘못된 풍토를 비판하고, 유가족들의 아픈 마음을 이해하며 필요한 대책을 함께 만들어가겠다고 다짐했다.

유가족들은 소통의 자리의 필요성을 느끼며, 재난 유가족 지원, 진상 규명, 그리고 정부의 책임 있는 행동을 촉구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이 16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기억과 위로, 치유의 대화’ 사회적 참사 유가족 간담회를 하며 참석 유가족들을 향해 허리 숙여 인사하고 있다. [사진 출처 =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16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기억과 위로, 치유의 대화’ 사회적 참사 유가족 간담회를 하며 참석 유가족들을 향해 허리 숙여 인사하고 있다. [사진 출처 =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은 세월호·이태원·무안 여객기·오송 지하차도 참사 등의 희생자 유가족에게 정부를 대표해 공식 사과했다.

이 대통령은 16일 오후 청와대 영빈관에서 ‘기억과 위로, 치유의 대화’라는 제목의 행사를 개최하고 참사 유족 200여명을 초청해 대화를 나눴다.

이 대통령은 행사 모두발언에서 “국가의 제1책임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것”이라며 “나라의 주인이 국민이다.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오는데, 국민이 위협을 받을 때 국가가 그 자리에 있지 못했다”고 말했다.

이어 “생명보다 돈을 더 중시하고, 안전보다 비용을 먼저 생각하는 잘못된 풍토 탓에 죽지 않아도 될 사람이 죽는 일이 발생했다”고 돌아봤다.

이 대통령은 “국정 최고 책임자로서 정부가 책임을 다하지 못한 점, 그로 인해 많은 사람이 유명을 달리한 점에 대해 공식적으로 정부를 대표해 사죄의 말씀을 드린다”고 말한 뒤 자리에서 일어나 고개를 숙였다.

이재명 대통령이 16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기억과 위로, 치유의 대화’ 사회적 참사 유가족과의 간담회를 하고 있다. 왼쪽부터 강훈식 대통령비서실장, 이 대통령, 강희업 국토교통부 2차관. [사진 출처 =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16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기억과 위로, 치유의 대화’ 사회적 참사 유가족과의 간담회를 하고 있다. 왼쪽부터 강훈식 대통령비서실장, 이 대통령, 강희업 국토교통부 2차관. [사진 출처 =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연합뉴스]

이를 본 일부 유족은 흐느꼈고, 몇몇 유족은 손수건으로 눈물을 닦기도 했다.

이 대통령은 “사죄의 말씀으로 떠난 사람들이 돌아올 리도 없고, 유족의 가슴에 맺힌 피멍이 사라지지도 않겠지만, 다시는 정부의 부재로 국민이 생명을 잃거나 다치는 일이 벌어지지 않는 계기가 됐으면 좋겠다”고 다짐했다.

또 “이런 자리를 오래 기다리셨을지 모르겠다. 충분한 진상규명이 되지 않았다고 생각하는 분도 있을 것이고 충분한 배상이나 포상, 사과나 위로가 없었다는 생각도 드실 것”이라며 “여러분의 아픈 말씀을 듣고 필요한 대책을 국민과 함께 만들겠다”고 재차 약속했다.

이 대통령의 발언 뒤에는 유가족의 발언이 이어졌다.

최은경 오송참사 유가족협의회 공동대표는 먼저 “재난 이후 국가로부터 아무런 보호도 받지 못한 채 모든 일을 스스로 감당해야 했다”며 “소통의 자리를 만들어줘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최 대표는 이어 ▲국정조사 ▲책임자 처벌 ▲재난 유가족 지원 매뉴얼 법제화 ▲추모비 설치 및 추모공간 조성 ▲심리회복 프로그램 즉시 시행 등을 요청했다. “충북도지사 관련 사안에 대해 검찰 수사가 형평성 있게 진행되고 있는지 점검해달라”고도 그는 청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16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기억과 위로, 치유의 대화’ 사회적 참사 유가족 간담회에서 12·29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유가족 발언을 듣고 있다. [사진 출처 =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16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기억과 위로, 치유의 대화’ 사회적 참사 유가족 간담회에서 12·29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유가족 발언을 듣고 있다. [사진 출처 =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연합뉴스]

송해진 이태원참사 유족협의회 운영위원장은 “이 대통령이 이태원 참사 3주기 추모식에 직접 참석해달라”며 “국가가 국민을 지키지 못했다고 솔직히 인정함과 동시에 다시는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겠다는 확고한 의지를 보여달라”고 제안했다.

그러면서 이태원참사 정보를 특별조사위원회(특조위)에 제공할 것, 참사 전후 경찰의 수사기록 일체를 공개할 것 등을 요구했다.

무안 여객기 참사 유가족협의회의 김유진 대표는 ▲특별법 개정을 통한 진상 규명 ▲둔덕과 항공 안전 시스템에 대한 전수 점검 ▲트라우마 센터 설립 등이 필요하다고 했다.

김종기 세월호참사 가족협의회 운영위원장은 “참사에 대한 사과는 문재인 전 대통령에게 들었지만, 이후의 2차 가해나 국가가 저지른 폭력에 대해서는 사과받지 못했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박근혜 전 대통령의 ‘7시간’에 대한 기록물이나 참사에 대한 국가정보원 및 군의 자료를 공개해야 한다”며 “세월호가 왜 갑자기 단시간에 침몰했는지, 304명이나 되는 국민을 왜 한 명도 구하지 못했는지 등 핵심적인 진상은 아직 규명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어 “국민 생명과 안전을 지키고 피해자의 권리를 지킬 수 있도록 생명안전기본법이 올해 안에 제정돼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