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企·소상공인 지원안 쏟아내는 은행권

4 hours ago 1

국내 주요 은행이 최근 앞다퉈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지원에 힘을 싣고 있다. ‘민생 회복’을 강조하는 현 정부와 보폭을 맞추려는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中企·소상공인 지원안 쏟아내는 은행권

기업은행은 오는 25일부터 2조원 규모의 ‘창업기업 설비투자 특별지원 프로그램’을 시작한다. 창업한 지 7년 이내인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이 처음 사업장을 꾸릴 때 대출금리를 최대 1.5%포인트 낮춰준다. 이 은행은 신용보증기금, 기술보증기금과 업무협약을 맺고 금리 인하 등을 통해 기업의 운전자금 조달 부담도 완화해 주기로 했다.

하나은행은 21일 지역신용보증재단에 300억원을 추가 출연했다고 밝혔다. 신용도가 낮은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상대로 3750억원의 금융 지원이 이뤄지도록 할 방침이다. 국민은행은 지난 18일 기술보증기금에 50억원을 출연해 중소·벤처기업이 약 1400억원을 지원받을 수 있도록 했다.

다른 은행들도 비슷한 방안을 쏟아내고 있다. 신한은행은 7일부터 대출금리가 연 10% 이상인 개인을 상대로 최대 1년간 금리를 연 9.8%로 내리는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가계대출로 분류되는 소상공인 대출에도 똑같이 적용한다. 농협은행은 지난 상반기 신용보증재단과 1조9000억원, 신용보증기금 및 기술보증기금과 2조6000억원 규모로 중소·중견기업을 지원하는 협약을 맺었다.

은행권이 이 같은 행보는 민생 회복과 상생을 강조하는 정부 기조에 맞추기 위한 것으로 분석된다. 정부는 은행을 비롯한 금융회사들에 장기 연체 채권 소각 등을 위한 배드뱅크 설립 재원의 절반인 4000억원을 부담할 것을 요구한 상태다. 국정기획위원회는 ‘중소기업 상생금융지수’ 도입도 검토 중이다.

은행권의 사회공헌 규모는 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국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은행권이 지난해 신보 등 보증기관에 출연한 금액은 총 2조9942억원으로 3년간 약 9000억원 늘었다.

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