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3기 신도시와 관련된 남양주왕숙1·2(9969억 원), 인천계양(7905억 원), 하남교산(4505억 원) 등 주요 프로젝트의 비중이 약 3조5000억 원으로, 전체 발주 금액의 18%를 차지한다. 또한 용인 국가산업단지 조성 공사도 약 2조4000억 원 규모로 발주될 예정이다.
LH는 발주 시점을 앞당겨 올해 1분기에 연간 발주 물량의 23%, 상반기에는 59%를 발주할 계획이다. 이는 건설경기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기조에 맞춰 적극적으로 진행되는 조치다.
올해 LH는 공공주택 착공 6만 호 달성을 목표로 전체 발주계획에서 약 12조6000억 원(전체 발주금액의 65%)을 건축공사와 아파트 부대공사 등에 집중 편성했다. 또한 용역 발주에서도 공공주택 사업 관련 기술용역에 약 1조2000억 원을 배정했다.발주계획은 심사 유형별로 구분되며, 종합심사낙찰제(간이형종합심사제 포함)에는 12조5000억 원(288건), 적격심사에는 2조9000억 원(941건), 기타에는 3조7000억 원(221건)이 배정됐다.
LH는 이번 발주 계획을 신속하게 이행해 침체된 건설경기 회복을 촉진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주요 아파트 대형 공사의 발주 일정은 월별 및 분기별로 관리되며 하반기 주요 공사의 일정은 변동 사항을 반영하여 상시 재공지될 예정이다. 이는 건설업체들이 지속적으로 입찰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조치이다.
이한준 LH 사장은 “대내외 불확실성 증가로 주택시장 변동성 확대 우려와 공급 여건 악화로 수급 불균형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면서 “차질 없는 3기 신도시 추진과 주택공급 목표 달성을 위해 최대 규모의 발주 물량을 편성했고 이를 속도감 있게 집행할 계획”이라고 전했다.황소영 동아닷컴 기자 fangso@donga.com
-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