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퇴직후 저임금 일자리 밀려나
결혼-육아로 경력단절이 주요 요인
51∼57세 연령대 남녀 임금 격차가 45∼50세와 비교해 2배 이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은퇴를 앞둔 2차 베이비붐 세대(1964∼1976년생) 1000만 명 중에서도 50세 이상 연령대의 퇴직 후 성별 임금 격차가 더 뚜렷해진 것이다.20일 한국고용정보원 ‘2차 베이비부머의 노동시장 심층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45∼50세 연령대 남녀 임금 격차는 약 20%인 반면 51∼57세 남녀 임금 격차는 약 45%로 조사됐다.
50대 들어 남녀 임금 격차가 급격히 벌어지는 건 50세 문턱에서 퇴직 후 성별에 따라 길이 크게 갈리기 때문이다. 통계청 조사에서 한국의 주된 일자리 평균 퇴직 연령은 49.4세다.
남성들은 50대에도 직장을 꾸준히 다니거나, 퇴직하더라도 어떻게든 재취업을 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하지만 여성은 50대까지 직장에서 버티는 경우가 많지 않고, 그만둔 뒤 임금이 적고 고용 조건이 좋지 않은 ‘질 낮은 일자리’로 옮겨가는 경우가 많다.50대는 과거 결혼하고 아이를 키우는 과정에서 임금 격차가 크게 벌어졌다. 남성은 결혼 후 자녀를 키우는 시기에 임금이 오르는 경향을 보였다. 하지만 여성은 이 시기에 오히려 임금이 낮아졌다. 이 세대가 결혼하고 자녀를 키우던 때는 여성의 사회 활동이 배제되진 않았지만, 결혼과 육아가 경력 단절 요인이 돼 결과적으로 ‘유리 천장’이 작용했다.
지은정 한국고용정보원 연구위원은 “여성의 교육 수준은 높아졌지만 여전히 간병, 돌봄, 음식점업 등 가사노동 연장선상에 있는 저임금 일자리로 밀리고 있다”고 말했다.
이문수 기자 doorwater@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