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국생명 김연경(오른쪽)이 8일 인천삼산월드체육관에서 열린 정관장과 V리그 여자부 챔피언 결정전 5차전에서 득점을 올린 뒤 환호하고 있다. 인천|김민성 기자 marineboy@donga.com
이변은 없었다. V리그 여자부 흥국생명이 통산 4번째 통합우승을 차지했다. 2018~2019시즌 이후 6시즌 만으로, 5번째 챔피언 결정전(5전3선승제) 제패다. ‘배구여제’ 김연경(37)의 라스트댄스도 완벽했다.
흥국생명은 8일 인천삼산월드체육관에서 열린 ‘도드람 2024~2025 V리그’ 여자부 챔프 5차전에서 정관장을 세트스코어 3-2(26-24 26-24 24-26 23-25 15-13)로 꺾고 시리즈 전적 3승2패로 정상에 섰다. 정규리그 1위를 조기에 확정한 흥국생명은 챔프 1, 2차전을 잡은 뒤 3, 4차전을 잇달아 내줬지만, 결국 안방에서 성대한 대관식을 열었다.
3수 끝에 정상을 밟고 V리그와 작별을 직접 알린 마르첼로 아본단자 흥국생명 감독은 “위기도 있었지만, 우린 멈추지 않았다. (정규리그부터) 중요한 경기를 꾸준히 이겼고, 챔프전에서도 어려움을 극복하며 좋은 결과를 냈다. 우린 우승할 자격이 있었다”며 환하게 웃었다.
흥국생명은 2월 26일 5경기를 남겨두고 7번째 정규리그 1위를 확정했다. 그 덕에 기다림은 조금 길었어도 지친 주전들을 회복시키고 팀을 재정비할 시간을 벌었다. 또 플레이오프(PO·3전2선승제)를 지켜보며 챔프전 가상 상대 정관장과 현대건설의 전력을 다양한 각도로 파악할 수 있었다.
2018~2019시즌 이재영(전 흥국생명) 이후 역대 2번째로 만장일치(기자단 투표 총 31표)로 챔프전 최우수선수(MVP)상을 수상한 김연경의 활약이 절대적이었다. 국내 재복귀 후 2022~2023시즌, 2023~2024시즌 연속 챔프전 준우승에 그친 그는 이번 시즌을 앞두고 이를 악물었다. 정규리그 막판 은퇴를 선언한 것도 팀이 끈끈하게 뭉치는 계기를 마련하기 위해서였다.
김연경은 모든 경기에서 눈부신 활약을 펼쳤다. 정규리그 공격종합 2위, 퀵오픈 1위 등 대부분의 공격 지표 상단에 이름을 올렸다. 수비도 돋보였다. 리시브 효율 2위로 우승 레이스에 크게 기여했다. 김연경의 수비 공헌도가 높다 보니 외국인 주포 투트쿠가 수비 부담 없이 공격에 치중할 수 있었다. 완벽한 밸런스를 이룬 흥국생명의 쌍포는 막기 어려웠다.
김연경은 맏언니 역할에도 충실했다. 코트 안에선 시시각각 바뀌는 선수들의 멘탈을 잡아주기 위해 끊임없이 소리 지르고 화끈한 세리머니를 주도하며 활력을 심어줬다. 경기 후에는 지친 후배들을 다독였다.
정관장과 챔프전에서 2승2패 동률을 허용한 뒤 흥국생명에는 암울한 기운이 감지됐다. 2년 전 한국도로공사와 챔프전에서 1, 2차전을 따낸 뒤 3~5차전을 내리 패해 준우승에 그쳤던 악몽이 떠올랐다. 그러나 김연경은 의연했다. “괜찮다. 우리의 날이 아니었을 뿐”이라며 미소를 보였다. 빨리 잡을 수 있었던 우승 트로피가 눈앞에서 잠시 사라져 안타까웠지만, 더 크게 흔들릴 수 있는 후배들을 먼저 생각했다. 베테랑의 품격이 위기에서 빛났다.
김연경은 “은퇴하는 날, 챔피언과 MVP를 모두 얻는 선수가 몇이나 되겠나? 이런 영광을 안겨준 동료들에 감사하다”면서 “솔직히 이게 끝이라는 게 실감나지 않는다. 내일도 어디론가 원정을 떠날 것 같다. 일단 ‘김연경재단’ 업무에 매진하려 한다. 조금 여유를 갖고 쉬면서 내가 가장 잘 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 찾아보려 한다”며 미소를 지었다.
단단한 에이스의 곁에는 든든한 후계자도 있었다. 특히 김연경이 직접 ‘포스트 김연경’으로 지목한 아웃사이드 히터(레프트) 정윤주는 내일이 더 기대되는 자원이다. 기대 이상의 정규리그에 비해 챔프전에선 다소 긴장한 듯 아쉬운 플레이도 종종 나왔지만, 풀타임 주전으로 뛴 시즌이 처음이었음을 고려하면 충분히 박수를 받을 만했다.
인천|남장현 기자 yoshike3@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