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덤시장에서 보편시장으로...귀멸의 칼날은 어디를 향하는가

4 hours ago 2

일본 애니메이션 '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성편'
'슬램 덩크 더 퍼스트' 이어 새로운 팬덤 시장 만들어
다이쇼 시대 어두웠던 역사에 대한 성찰 엿보여

‘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성편’이 관객 406만 명(10일 기준)을 넘겼다. 개봉 18일 만이다. 이런 추세대로라면 일단 500만까지는 달릴 가능성이 크다. 일본 애니메이션 중 국내 흥행 1위는 2023년에 개봉한 신카이 마코토 감독의 ‘스즈메의 문단속’이었다. 558만 명 봤다. ‘귀멸의 칼날: 무한성편’이 이 기록을 깰 것인지는 아직 확신하기 힘들다. 그러나 속도만큼은 빠르다. 이 애니메이션은 개봉 전 예매로만 92만 장이 팔렸다. 현재 개봉영화 중에서 여전히 흥행 1위를 달리고 있으며 일부 반일 정서에도 불구하고 20~40대에서 고르게 관객을 모으고 있다. 물론 주 관객층은 20대이며 남녀 비율은 4:6 정도다.

 무한성편'의 주제가 스틸. 애니맥스브로드캐스팅코리아 제공

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성편'의 주제가 스틸. 애니맥스브로드캐스팅코리아 제공

‘귀멸의 칼날: 무한성편’의 열기는 어느 정도 예견된 것이다. 전작인 ‘귀멸의 칼날: 무한열차’도 소리소문없이 220만을 기록했었다. 다만 국내 극장가가 지난 2~3년간 급전직하한 상황을 고려했을 때 이상 열기인 것만은 분명해 보인다. 일부에서는 이를 두고 국내 극장가가 확실하게 ‘팬덤 시장’으로 넘어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고 분석한다. 대중문화의 폭발력은 ‘보편 시장’에서 나온다는 것이 여전한 중론이다. 감독 김한민의 ‘명량’ 같은, 윤제균이 만든 ‘국제시장’ 같은, 강제규 감독의 ‘태극기 휘날리며’ 같은, 12세 이상의 대다수 관객을 동원하는 영화가 보편 시장을 움직인다고 전문가들은 내다본다. 팬덤 시장의 크기는 그에 훨씬 못 미친다. 그간 팬덤 시장의 관객 수는 최고 200만이 한계였다. ‘귀멸의 칼날: 무한성편’의 인기는 이 팬덤 시장이 급격하게 확대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며 상대적으로 보편 시장은 빠르게 축소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 조짐은 사실 2023년 ‘스즈메의 문단속’과 거의 같은 시기(1월)에 개봉됐던 ‘더 퍼스트 슬램덩크’ 때부터 나타났다. 이 마니아급 애니메이션 작품 역시 당시로서는 놀랍게도 489만 명에 가까운 관객을 모으며 질주했다. 팬덤 관객, 오타쿠, 덕후 등으로 불리는 마니아 관객들이 전면에 나서면서 이제 한국 극장가에서는 오히려 천만 관객 영화가 나오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조심스럽게 제기되고 있다. ‘귀멸의 칼날: 무한성편’이 500만을 넘기면, 국내 극장가는 어쩌면 향후 마케팅, 작품 프로그래밍의 방향성, 모객 방법론 등등을 전면적으로 재수정해야 할 수도 있다. 결국 일본 애니메이션 ‘귀멸의 칼날: 무한성편’은 다소 급작스럽게 국내 극장가를 보편 시장이냐, 팬덤 시장이냐의 갈림길에 노출한 셈이 됐다.

 무한성편'의 주제가 스틸. 애니맥스브로드캐스팅코리아 제공

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성편'의 주제가 스틸. 애니맥스브로드캐스팅코리아 제공

‘귀멸의 칼날: 무한성편’처럼 엄청난 덕후, 오타쿠를 지닌 시리즈 작품은 함부로 평가할 수가 없다. 일단 일본 국내에서만 4억 부가 팔린 고토케 코요하루의 만화책(점프 코믹스)은 한국에서도 23권 전권(학산 코믹스)이 나왔다. 만화책은 2016년 첫 발매 당시 그렇게 큰 인기를 끌지는 못했으나 애니메이션 제작사 유포테이블(ufotable)이 만든 TV 시리즈가 2019년~2024년까지 후지TV와 도쿄 메트로폴리탄 텔레비전(TOKYO MX)의 전파를 타면서 엄청난 역주행을 하기 시작했다. 단행본 4억 부는 오히려 TV의 인기가 만든 것이다. 그리고 그 총체적 결과가 올해 5월 개봉됐던 극장판 애니인 ‘귀멸의 칼날: 무한열차’였으며 현재의 ‘무한성편’까지 이어지고 있는 셈이다. ‘무한성편’은 총 3부작으로 예정돼 있고 이번은 그 1부에 해당하는 셈이라 추후 3부 전체가 모을 관객 수는 현재로서는 가늠하기 힘들다. 국내 수입의 경우 에스엠지홀딩스와 애니맥스브로드캐스팅코리아 간 치열한 경쟁이 벌어지고 있어 추후 국내 애니메이션 업계 판도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무한성편'의 주제가 스틸. 애니맥스브로드캐스팅코리아 제공

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성편'의 주제가 스틸. 애니맥스브로드캐스팅코리아 제공

그것이 ‘무한열차’이든 ‘무한성편’이든 중요 포인트 중 하나는 시대 배경이 다이쇼(大正) 천황 시대라는 것이다. 다이쇼 천황은 1879년에 태어나 1912년에서 1926년까지 일본을 통치했다. 일본 역사에서 가장 유명한 천황이었던 메이지 천황의 서자로 외아들이었다. 2차 세계대전 전범급인 히로히토 천황의 친부이다. 일본 영화 중에는 지금의 ‘극장판 귀멸의 칼날’ 시리즈만큼 막강한 인기를 끈 작품이 하나 있는데 실사 영화인 ‘바람의 검심’이다. 이 극장용 영화는 총 5부가 나왔다. ‘바람의 검심’ ‘바람의 검심 : 교토 대화재’ ‘바람의 검심 : 전설의 최후’ ‘바람의 검심 최종장: 더 파이널’ ‘바람의 검심 최종장: 더 비기닝’의 순서다.

‘바람의 검심’은 검객 히무라 켄신(사토 타케루)이 메이지 유신(1868년)에 복속한 후, 막부를 해체하는 과정에서 살수(殺手, 최고의 킬러)로서 활약하다 깊은 회의를 느끼게 된다는 이야기이다. 켄신은 교토에 은둔하지만, 일본이라는 근대국가가 새롭게 탄생하는 과정에서 이런저런 정치사회적 분란이나 개인적 복수극에 휩싸이게 된다. 히무라 켄신은 더 이상 사람을 죽이지 않겠다며 역날검을 쓰는데 이는 메이지 시대가 얼마나 폭력적이었는가를 역설적으로 강조하려는 사무라이식 태도이다. ‘바람의 검심’ 역시 만화 원작 시리즈를 모태로 했으며 실사 검법 영화 중 최고의 퀄리티를 보여 준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2012년 첫 회가 나온 이후 5부작 전편은 일본에서 3,800만 명의 관객을 모았다.

 더 파이널'의 한 장면. / 사진 출처. 왓챠피디아

'바람의 검심 최종장: 더 파이널'의 한 장면. / 사진 출처. 왓챠피디아

‘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성편’은 한 마디로 이 같은 ‘바람의 검심’에게 쏠린 팬층의 연령대를 조금 더 낮추고 내용 역시 마니아급으로 좀 더 깊게, 그리고 좁힌 작품이다. ‘바람의 검심’과 ‘귀멸의 칼날’의 공통점은 화려하다 못해 극히 비현실적 판타지에 가까운 검술 액션이다. 검술 액션만으로도 두 편의 영화는 볼만한 내용을 지닌다. 그러나 한편으로 2~30대 젊은 층 관객들로서는 받아들이기 힘들겠으나, 무엇보다 원작자 고토케 코요하루의 작품관이 거기에까지 미치고 있는 지까지는 확인하기 어렵겠으나, 이 ‘귀멸의 칼날’ 작품 전체(만화, TV, 극장판)는 다이쇼 시대에 노골화된 군국주의에 대한 반감, 일본 제국주의 역사에 대한 일정한 자기 성찰이 들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일본에서는 사무라이 정신이 매우 중요하고 검과 검술을 어떤 방향으로 향해야 하는 가가 매우 중요하다. ‘귀멸의 칼날’ 작품 전체에서 보이는 선악의 구도, 곧 도깨비라 불리는 혈귀(대장 격인 무잔, 그 휘하인 스사마루나 야하바 같은 십이귀월)와 도깨비들에게 가족이 몰살당한 주인공 카마다 탄지로 등 반(反)혈귀파, 곧 귀살대와의 대립 관계에 있다. 여기에는 일본 역사에서 도깨비처럼 제국주의로 치달았던 ‘악마’ 집단을 판타지로라도 응징과 제어를 해야 했다는, 그럼으로써 사무라이의 검을 올바로 써야 했고, 또 앞으로는 그렇게 쓰겠다는 식의 정치사회적 반성의 욕망이 반영돼 있다. 자못 확대해석일 수 있지만 다이쇼(大正)시대임에도, 올바른 정의라는 이름으로 구현되지 못했던 시대를 반복하지 않겠다는 의지가 개입돼 있다. 이게 그다지 이 작품을 오독(誤讀)하는 것은 아닐 것이다.

 무한성편'의 주제가 스틸. 애니맥스브로드캐스팅코리아 제공

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성편'의 주제가 스틸. 애니맥스브로드캐스팅코리아 제공

주인공 탄지로는 처음엔 도깨비에게 물려 반(半)도깨비 반(半)인간이 된 여동생 네즈코를 구하는 것이 목표일 뿐이다. 그런 탄지로는 귀살대의 97대 당주이자 사상가, 예지자인 카가야에게 ‘각성’된다. 탄지로는 여동생을 구하는 목적을 넘어 귀살의 사명을 수행하기 시작한다. 관객들이 열광하는 것은 바로 이 영웅서사의 탄생이다. 탄지로는 귀살대의 주(柱)들과 함께 무잔의 저택인 무한성에서 일대 혈투를 벌인다. 주(柱)는 중국 무협에서 언급되는 일종의 ‘문파’같은 것으로 강호에 9대 문파가 있듯이(소림파 화산파 아미파 등) 귀살대에도 9명의 주가 있다. 등장인물 중 화염의 호흡을 구사하는 염주의 렌고쿠 신쥬로 같은 캐릭터를 말하는 것이다. 물의 힘을 이용하는 수주도 있다. 이 9명의 주와 주인공 탄지로의 관계는 일종의 삼총사와 달타냥의 관계와 같다. 달타냥은 삼총사로부터 전적인 도움을 받지만 결국 모든 갈등과 전쟁을 끝내는 것은 달타냥이다. 탄지로가 바로 그렇다. 따라서 이 ‘귀멸의 칼날’ 시리즈는 중국 무협과 유럽 고전의 서사 구조에 일본 특유의 사무라이 이야기까지 합쳐 새로운 판타지를 창조해 낸 셈이 되는 작품이다. 결국은 모방과 창조의 집대성이다.

‘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성편’은 이제 3부로서 그동안의 모든 복잡한 서사와 갖가지 등장인물들로 진행돼 온 ‘귀멸의 칼날’ 시리즈를 총정리하려는 것처럼 보인다. 혈귀의 본거지 무한성에는 모든 주(柱)가 등장해 현란한 액션을 펼친다. 이 시리즈의 입문자라면 짧게 짧게나마 모든 캐릭터를 다 소개받고 그들마다의 이전 개인사를 플래시백으로 알아듣게 돼서 흥미롭다. 그러나 덕후들, 이 시리즈의 만화 27권 전권을 다 볼 정도로 광팬인 사람들에게는 그런 식의 ‘축약’이 오히려 작품의 재미를 반감시키고 의미를 훼손하는 것으로 느껴질 것이다. ‘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성편’이 팬덤 시장에서 그칠지, 보편 시장으로 진입할지도 관전 포인트이다. 바다 건너 일본에서 넘어온 애니메이션 한편이 한 나라의 극장가를 흔들고 있다. 귀추가 주목된다는 말은 이럴 때 쓰는 것이다.

오동진 영화평론가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