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는 친환경차 화재 대응 실험·훈련을 통합 실시할 수 있는 훈련장을 구축했다고 20일 밝혔다. 도 소방본부는 청양에 있는 충남119복합타운 내에 ‘친환경연료 화재대응훈련센터’를 준공하고, 다음 달부터 본격적으로 가동할 예정이다.
충남지역 전기차 등록 대수는 2022년 1만6611대, 2023년 2만4130대, 2024년 3만654대로 상승했다. 전기 차 증가에 따라 화재도 증가 추세다. 도내에서는 2022년부터 지난해까지 11건이 발생했다. 전국적으로도 2022년 43건, 2023년 72건, 2024년 73건이 발생한 바 있다.
전기차 화재 원인은 비이상적 온도 상승에 따른 배터리 자발적 발화, 파워트레인 케이블 과전류로 인한 단락(쇼트), 외부 물리적 충격으로 인한 배터리 셀 손상 등을 꼽는다. 전기차 화재는 특히 배터리 열폭주로 인해 수 초에서 수 분 사이 차량 전체로 화재가 번질 수 있고, 진화가 어려운 구조인 데다 재발화 가능성이 높다.
이에 충남도는 전기차를 비롯한 친환경 차량 화재에 대한 실험 및 연구와 진압 훈련 등을 위해 센터를 구축했다.
센터 내에는 통합 훈련 지휘 시설, 제트 화염 분사 장치, 전기차·수소차 화재 대응 훈련 모형 장치, 수소 튜브 트레일러 운송 사고 대응 훈련 모형 장치, 충전시설 누출·화재 대응 훈련 모형 장치 등이 설치돼 있다.
전기차와 수소차, 가스, 지하공간 화재 진압 훈련을 통합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곳은 아시아에서 충남이 최초다. 도 소방본부 관계자는 “이번 친환경연료 화재대응훈련센터는 전기차를 비롯한 친환경 차량의 유형별 화재와 진압 방법을 실험·훈련하며 대응력을 크게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충남지역 전기차 등록 대수는 2022년 1만6611대, 2023년 2만4130대, 2024년 3만654대로 상승했다. 전기 차 증가에 따라 화재도 증가 추세다. 도내에서는 2022년부터 지난해까지 11건이 발생했다. 전국적으로도 2022년 43건, 2023년 72건, 2024년 73건이 발생한 바 있다.
전기차 화재 원인은 비이상적 온도 상승에 따른 배터리 자발적 발화, 파워트레인 케이블 과전류로 인한 단락(쇼트), 외부 물리적 충격으로 인한 배터리 셀 손상 등을 꼽는다. 전기차 화재는 특히 배터리 열폭주로 인해 수 초에서 수 분 사이 차량 전체로 화재가 번질 수 있고, 진화가 어려운 구조인 데다 재발화 가능성이 높다.
이에 충남도는 전기차를 비롯한 친환경 차량 화재에 대한 실험 및 연구와 진압 훈련 등을 위해 센터를 구축했다.
센터 내에는 통합 훈련 지휘 시설, 제트 화염 분사 장치, 전기차·수소차 화재 대응 훈련 모형 장치, 수소 튜브 트레일러 운송 사고 대응 훈련 모형 장치, 충전시설 누출·화재 대응 훈련 모형 장치 등이 설치돼 있다.
전기차와 수소차, 가스, 지하공간 화재 진압 훈련을 통합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곳은 아시아에서 충남이 최초다. 도 소방본부 관계자는 “이번 친환경연료 화재대응훈련센터는 전기차를 비롯한 친환경 차량의 유형별 화재와 진압 방법을 실험·훈련하며 대응력을 크게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정훈 기자 jh89@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