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정부의 ‘공식 실패’ 사업
책임자 외 직원들도 최대 3600만원 받아
1300억원 넘는 예산이 투입된 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 사업 ‘대왕고래 프로젝트’ 관련 책임자들이 고액의 성과상여금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권향엽 의원(더불어민주당)이 한국석유공사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해당 프로젝트를 총괄했던 곽원준 부사장은 지난해 성과 상여금으로 약 4214만원을 받았다. 이는 곽 부사장 기본 연봉 월액의 427%에 해당한다.
곽 부사장은 올해도 약 3285만원의 성과 상여금을 받아 지난 2년간 받은 금액만 약 7500만원에 달했다.
대왕고래 프로젝트는 윤석열 전 대통령이 지난해 6월 포항 영일만 앞바다에서 대규모 석유·가스 매장 가능성을 발표하며 시작됐다. 당시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최대 매장 가능성을 140억 배럴을 얘기하고 있는데 현재 가치를 따져보면 삼성(전자) 총 시총의 5배 정도”라며 낙관했다.
하지만 석유공사가 지난달 21일 대왕고래 사업은 “경제성이 없는 것으로 최종적으로 확인했다”며 “추가적인 탐사를 추진할 계획이 없다”라고 밝히면서 해당 프로젝트는 공식적으로 실패한 사업으로 남았다.
앞서 언급한 곽 부사장만 뿐만 아니라 대왕고래 사업에 관여한 동해탐사팀과 시추팀 직원들 역시 꽤 높은 수준의 성과 상여금을 받아갔다. 동해탐사팀은 프로젝트 용역 업체로 지정됐던 ‘액트지오’ 선정에 직접 관여했던 부서이며, 액트지오는 석유공사가 용역비 약 40억원을 지급한 1인기업이다.
동해탐사팀과 시추팀은 기본 연봉 월액의 최소 300%부터 최대 427%를 지급받았다. 이들 중 가장 많은 성과상여금을 받은 인물은 동해탐사팀의 책임위원인 주 모 씨로, 약 3600만원을 챙겼다. 이어 구모 팀장이 3000여만원을, 황모 팀장이 2600여만원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권향엽 의원은 “석유공사가 천문학적 세금 손실을 낸 ‘대왕고래’를 두고 성과라고 포장하며 고액의 성과상여금을 지급한다면, 납득할 국민은 단 한 명도 없을 것”이라며 “국민 눈높이에 맞는지 성찰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