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행 물량 선회…HD현대, 2.3조 수주 눈앞

6 days ago 7

HD현대가 미국의 ‘중국 봉쇄’ 정책 덕분에 대규모 계약 수주를 눈앞에 뒀다. 미국 정부가 중국에서 만든 선박에 거액의 입항 수수료를 물리기로 하자, 해외 선주가 중국 업체에 맡기려던 선박 건조 물량을 한국으로 돌렸기 때문이다. 그리스 해운사가 중국에 주려던 컨테이너선 물량은 모두 20척으로, 금액으로는 2조2500억원에 달한다.

◇한국 조선사 찾는 선사들

4일 해운업계에 따르면 그리스 해운사 캐피털마리타임은 HD현대삼호에 8800TEU(1TEU=20피트 컨테이너 1개)급 액화천연가스(LNG) 이중연료 컨테이너선 6척을 발주할 것으로 알려졌다. 한 척당 가격은 1억4000만달러(약 2033억원)로, 전체 계약 금액은 8억4000만달러(약 1조2198억원)에 이른다.

캐피털마리타임은 HD현대미포에도 2800TEU급 컨테이너선 8척(척당 5500만달러)과 1800TEU급 컨테이너선 6척(척당 4500만달러)을 총 7억1000만달러(약 1조310억원)에 주문할 것으로도 전해졌다. HD현대는 2027년부터 2년간 순차적으로 선박을 인도할 계획이다.

캐피털마리타임은 중국 조선사의 ‘단골손님’이었다. 작년에도 중국 뉴타임즈조선에 8800TEU급 컨테이너선 10척을 발주했다. 얼마 전에도 4300TEU, 7000TEU급 선박을 추가로 건조하기 위해 중국 내 컨테이너선 건조 슬롯을 알아본 것으로 전해졌다.

캐피털마리타임의 선박 건조 계획을 돌려세운 건 미국이었다. 미국에 입항한 중국산 선박에 대해 미국무역대표부가 거액의 수수료를 물리는 방안을 추진한다는 사실이 알려져서다. 무역대표부는 미국 항만에 들어온 중국 선사에 한 척당 100만달러(약 14억원), 중국산 선박을 이용하는 선사에는 150만달러(약 21억원)를 수수료로 부과할 계획이다. 미 국방부는 중국 최대 조선사인 중국선박공업집단(CSSC)을 블랙리스트에 올리기도 했다.

◇올해 들어 中 꺾이고 韓 반등

중국은 한국보다 20% 저렴한 가격을 앞세워 글로벌 컨테이너선 시장을 휩쓸었다. 2022년 52%였던 중국 조선소들의 수주 점유율이 지난해 70%까지 올라선 배경이다. 가격으로 경쟁할 수 없게 된 국내 조선사들은 중국과 기술 격차가 있는 LNG운반선 등 고부가가치 선박 수주에 집중했다. 하지만 점유율 하락은 피할 수 없었다. 한국의 수주 점유율은 같은 기간 반토막(2022년 32%→지난해 16%)이 됐다.

하지만 미국의 중국 봉쇄가 대폭 강화되면서 올 1분기 한국의 수주 점유율은 27%로 뛴 반면 중국은 49%로 떨어졌다. 국내 조선사들은 수주 호황이 한동안 이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삼성중공업은 최근 브라질 해운사 트랜스페트로에서 1조9000억원짜리 셔틀탱크 9척 수주 계약을 따냈다. 당초 중국 조선사와 나눠 수주할 것으로 예상됐던 물량이다. 한화오션은 독일 해운사 하파그로이드로부터 1만6800TUE급 컨테이너선 6척을 수주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다. 계약 규모는 1조8000억원에 달한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미국 정부의 제재 여파로 화주들이 미국으로 화물을 보낼 때 중국산 선박을 피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며 “한국 조선사에 ‘러브콜’을 보내는 글로벌 선주들은 갈수록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김진원 기자 jin1@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