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정악화 우려 고조 美·日 국채금리 급등

6 hours ago 1

美감세법 통과 후 재정부담
장단기 국채금리 일제 상승
참의원 선거 결과 불확실성에
日10년물 금리 17년래 최고

사진설명

재정적자 공포와 불안한 무역·정치 환경에 일본과 미국 국채 금리가 일제히 급등(채권 가격 급락)했다.

일본에서는 국가 부채 부담 속에 오는 8월 1일까지 유예된 미국의 상호관세 압박, 이달 20일 치러지는 참의원 선거 결과까지 대내외 불확실성이 고조되면서 국채 금리가 급등했다. 미국도 관세발 인플레이션 영향이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결정을 좌우하는 상황에서 연일 격화되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제롬 파월 연준 의장 간 갈등이 불확실성을 키우는 흐름이다.

일본 채권시장에서 장기 지표인 10년물 국채 금리는 15일 오전 한때 1.6%까지 치솟았다. 리먼브러더스 사태 직후인 2008년 10월 이후 약 17년 만에 최고 수준이다.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오는 20일 참의원 선거 후 재정확장성 정책이 실현되기 쉬울 것이라는 관측과 미국 금리 상승이 영향을 미쳤다"고 짚었다. 교도통신도 "여당이 과반 유지에 실패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 야당이 주장하는 소비세 감세와 관련한 재정 악화 우려에 대한 시장 경계감이 높아졌다"고 짚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14일(현지시간) 미 국채 금리 역시 장단기물을 가리지 않고 일제히 상승했다. 30년물 금리는 전날보다 2.8bp(1bp=0.01%포인트) 오른 4.979%를 기록하며 5%에 근접했다. 한 달 만에 최고치다. 대규모 감세법을 추진하는 미국뿐만 아니라 일본, 독일 등 선진국들이 정부 지출 확대에 나서며 재정적자 우려가 커지자 장기 국채에 대한 투자심리가 급속히 냉각됐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이슈까지 겹친 미국은 인플레이션 우려도 부각됐다.

[신윤재 기자 / 뉴욕 임성현 특파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