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 한 장 못 받았다”…제주항공 참사 유족, 국회서 무릎 호소

12 hours ago 2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에 대한 진상조사가 지연되고 유가족의 호소가 이어지는 가운데, 국회에서 유가족이 무릎을 꿇고 조속한 진상규명을 촉구했다.

김유진 유가족협의회 대표는 300일 동안 자료조차 받지 못했다며 사조위의 조사 방식에 문제를 제기하며 독립기구로 이관해달라고 요청했다.

여야 의원들은 제주항공과 사조위의 책임을 추궁하며, 사조위가 조종실 음성기록장치와 비행기록장치 내용을 포함한 중간조사보고서를 공개하겠다고 발표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조사 지연에 유족 반발 지속
자료 비공개 논란 해결 촉구

29일 국감장에서 무릎 꿇고 호소하는 김유진 유가족협의회 대표. 연합뉴스.

29일 국감장에서 무릎 꿇고 호소하는 김유진 유가족협의회 대표. 연합뉴스.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진상조사가 지연되고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사조위)의 소통이 부족하다는 비판이 이어지는 가운데, 유가족이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종합감사 자리에서 무릎을 꿇고 조속한 진상규명을 호소했다.

29일 국회에서 열린 종합감사에서 김유진 12·29 무안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유가족협의회 대표는 참고인으로 참석해 “유족들은 300일 동안 단 한 장의 자료도, 한 줄의 진실도 받지 못했다”며 오열했다. 김 대표는 “사조위는 제조사 결함에 대한 의지도, 전문성도 없이 책임을 조종사와 새 한 마리에 돌리고 있다”며 “조사 중단 후 독립기구로 이관해 달라”고 요구했다.

국토위 여야 의원들은 제주항공과 사조위를 향해 강하게 질타했다. 정준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사고기체 정비 이력과 블랙박스 기록 소실 사례를 언급하며 “2018년 유사 사고 때도 대책 없이 넘긴 것 아니냐”고 지적했다. 김이배 제주항공 대표는 “조사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며 “유족과 희생자들에게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고 답했다.

김은혜 국민의힘 의원은 “사조위가 총리실로 이관돼도 인력과 결과가 그대로 간다는 제주항공의 설명은 납득하기 어렵다”며 “어떻게 항공사가 조사위원회 내부 사정을 이처럼 잘 아느냐”고 지적했다. 이승열 사조위 조사단장은 “정책적 사항은 잘 알지 못한다”고 답했다.

맹성규 국토위 위원장은 “유족이 서류 한 장도 받지 못하는 게 비정상”이라며 “공개 가능한 부분은 투명하게 공유하고, 유족이 수용할 수 있는 후속 조치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의원들의 지적이 이어지자 사조위는 12월 중 공청회를 열고 조종실 음성기록장치(CVR)와 비행기록장치(FDR) 내용을 중간조사보고서에 포함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지난해 12월 29일 태국 방콕을 출발한 제주항공 7C2216편은 무안공항 착륙 중 활주로 유도장치(로컬라이저)와 충돌해 폭발했다. 이 사고로 탑승자 181명 중 179명이 숨졌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