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은행 우승 이끈 김단비, 역대 두 번째 MVP 포함 8관왕 등극!…신인왕은 신한은행 홍유순 (종합) [MK용산]

4 hours ago 2

아산 우리은행 우리WON의 정규리그 우승을 이끈 김단비가 수 많은 트로피들과 마주했다.

24일 서울 용산구 서울드래곤시티 3층 그랜드볼룸 한라홀에서는 하나은행 2024-2025 여자프로농구 정규리그 시상식이 열렸다. 각 부문 수상자들은 모두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최우수선수(MVP)는 김단비의 몫이었다. 올 시즌 29경기에 나선 김단비는 평균 21.10득점 10.90리바운드, 1.52블록 2.07스틸을 기록, 우리은행의 정규리그 우승을 이끌었다.

김단비. 사진=WKBL 제공

김단비. 사진=WKBL 제공

김단비. 사진=WKBL 제공

김단비. 사진=WKBL 제공

앞서 득점상, 리바운드상, 블록상, 스틸상, 윤덕주상(최고 공헌도상), 우수 수비상, 베스트 5(포워드)를 받았던 김단비는 이로써 8관왕에 오르게 됐다. WKBL에서 8관왕이 나온 것은 지난 2023-2024시즌 박지수 이후 김단비가 두 번째다.

김단비는 MVP 수상 후 “사실 오늘은 수상 소감을 준비 안 했다. 제 감정대로 감사한 분들께 고마움을 전하고 싶다. 우리은행이 많이 약해졌다는 평가를 받았고, 선수들도 많이 바뀌었다. 이런 상황에서 개막전을 치렀는데, 경기장을 가득 메워준 우리은행 팬 분들께 너무 감사드리고 싶다. 정말 힘들었는데 덕분에 정규리그 우승할 수 있었다”고 밝은 미소를 지었다.

이어 “(그동안) MVP를 받고 새 시즌을 시작할 때 말로는 자신감이 넘쳤지만, 사실 많이 힘들었다. 많은 압박을 받고, 그만할까도 고민했다. 그런데 그것을 10년 넘게 하신 위성우 감독님이 계시다. 감독님이 왕관의 무게를 견디기 위해 어떻게 노력하시는지 옆에서 보고 배웠다. 저도 잘 이겨낼 수 있었다”며 “제 마지막 목표는 감독님 최고의 작품이 되고 싶다. 내 최고의 제자는 김단비였다는 말을 들을 수 있게 끝까지 노력하고 최대한 천천히 내려가겠다. 더 올라갈 수 있으면 올라가도록 최선을 다하겠다. 저를 여기까지 올려주셔서 감사드린다”고 덧붙였다.

홍유순. 사진=WKBL 제공

홍유순. 사진=WKBL 제공

생애 단 한 번만 받을 수 있는 신인왕은 홍유순(인천 신한은행 에스버드)이 영광을 안았다. 올 시즌 29경기에 나선 홍유순은 평균 8.1득점 5.7리바운드를 기록, 신한은행의 골밑을 책임졌다.

홍유순은 “정말 받고 싶었던 상인데 받아 기분이 너무 좋다. 감사한 분들 생각이 많이 난다. 저를 믿고 기회를 주신 감독, 코치님들, 스태프분들, 언니들 덕분에 이 상을 받았다. 사랑하는 우리 가족들께도 감사드린다”며 “한국에 잘 적응할 수 있을지 걱정했는데, 많은 분들 덕분에 잘할 수 있었다. 이 상을 계기로 더 발전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다짐했다.

아울러 김단비를 비롯해 배혜윤(센터·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 김소니아(포워드·부산 BNK썸), 키아나 스미스(가드·삼성생명), 허예은(가드·청주 KB스타즈)이 베스트 5에 이름을 올린 가운데 지도상은 우리은행의 정규리그 우승을 이끈 위성우 감독의 차지였다.

배혜윤. 사진=WKBL 제공

배혜윤. 사진=WKBL 제공

김단비와 김소니아. 사진=WKBL 제공

김단비와 김소니아. 사진=WKBL 제공

허예은과 키아나 스미스. 사진=WKBL 제공

허예은과 키아나 스미스. 사진=WKBL 제공

위 감독은 “사실 이런 상을 몇 번 받아봤는데, 이번 상이 최고”라며 “우리 선수들이 올 시즌 정말 고생을 많이 했다. 감독이 받고 싶어서 받을 수 있는 상은 아니다. 선수들이 열심히 훈련해주고 따라와서 받을 수 있었다. 다시 한 번 선수들에게 감사하다는 말을 전하고 싶다. 옆에서 열심히 해주는 전주원 코치, 임영희 코치, 프런트에게도 감사하다. 제가 성격이 안 좋아 많이 힘든 것 아는데, 묵묵히 따라와줘서 이 상을 받을 수 있었다”고 미소를 지었다.

그러면서 위성우 감독은 “우리 한국 여자 농구가 예전 세계선수권 준우승, 올림픽 은메달, 4강의 업적들을 이뤄냈는데, 아무래도 지금은 많이 침체됐다. 많이 약해졌고, 국제대회에서 힘을 못 쓰고 있다. 우리 지도자들도 열심히 한다고 하지만, 한계를 느낄 때가 많다”며 “선배님들이 닦아놓은 길이 있다. 선수들이 그 길을 따라 열심히 노력해주면 머지않아 우리 여자 농구가 아시아를 넘어 세계 무대에 우뚝 설 수 있을 것”이라고 여자농구의 발전을 바랐다. 아울러 위 감독은 이번 수상으로 받은 300만 원의 상금을 MIP(기량발전상)을 받지 못한 ‘제자’ 이명관에게 주기로 했다.

위성우 감독. 사진=WKBL 제공

위성우 감독. 사진=WKBL 제공

이명관. 사진=WKBL 제공

이명관. 사진=WKBL 제공

3득점상은 64개를 성공시킨 강이슬(KB스타즈)의 몫이었다. 어시스트상은 7.03개를 작성한 허예은이 거머쥐었다.

자유투상은 82.69%의 성공률을 써낸 김소니아(BNK)가 영예를 누렸으며, 3점 야투상은 37.50%의 성공률을 올린 키아나가 받았다. 2점 야투상은 56.34%의 성공률을 기록한 이해란(삼성생명)이 가져갔다.

모범선수상 및 특별상은 WKBL 통산 최다 득점을 기록 중인 김정은(부천 하나은행)이 차지했다. 김정은은 “사실 올 시즌이 마지막이라 생각했는데, 이렇게 끝내기엔 너무 아쉬울 것 같다. 1년만 더 해주면 안 되겠냐는 (하나은행 후배들의) 진심을 느꼈다. 1년 더 할 것”이라고 현역 생활 연장의 뜻을 드러냈다.

한편 식스우먼상은 조수아(삼성생명)에게 돌아갔으며, MIP는 키아나가 기쁨을 누렸다. 아시아쿼터 선수상은 나가타 모에(KB스타즈)가 받았다.

사진=WKBL 제공

사진=WKBL 제공

[용산=이한주 MK스포츠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