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이데일리 김미영 기자] 외국인 투자자가 외화를 환전해 한국 시장에 투자하는 과정에서 겪는 ‘결제 시차’에 따른 애로가 풀릴 전망이다.
이형일 기획재정부 1차관은 14일 국제금융센터에서 ‘외환건전성 협의회 겸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선진국 지수 편입추진 태스크포스(TF) 회의’를 열고 외국인 투자자의 결제 편의 제고방안을 논의했다.
먼저 정부는 ‘한은금융망(BOK-Wire+)’ 운영시간을 현행 오후 5시 30분에서 오후 8시로 연장하기로 했다.
현재는 외국인 투자자로부터 결제 당일 오전 중에 결제자금을 송금받아야만 당일 중 증권 결제가 가능한 구조다. 한국은 주요 국제금융시장보다 시간대가 앞서, 결제자금 송금 시점이 외환결제 시점보다 이르기 때문에 외국인 투자자는 결제 전날에 원화를 미리 확보해 두거나 당일 이자를 내면서 원화 대출을 이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정부는 내년 4월부터 한은금융망 운영시간을 연장해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겠단 계획이다.
정부는 또한 예탁결제원의 채권기관결제시스템(e-SAFE) 운영시간도 연장하고, 예탁원의 결제 단계별 소요 시간도 대폭 단축하기로 했다. 외국인 투자자가 오후 6시까지만 결제자금을 송금하면 당일 결제가 가능하도록 개선하기 위해서다.
결제 시점이 늦어짐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국내 수탁은행의 미결제 증권보고 부담은 완화한다. 결제 지연 자료 제출 주기를 현행 원 단위에서 분기 단위로 바꿔 국내 수탁은행이 결제자금 송금 마감시한을 실질적으로 연장할 수 있도록 한다.
정부는 개선방안을 통해 세계국채지수(WGBI) 편입으로 대규모 자본이 이동하는 내년 4월에 시장 안정성을 더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향후 MSCI 선진국 지수 편입 추진 과정에서도 투자 편의성을 높이는 기반이 될 것으로 본다.
이 차관은 “이번 인프라 개선방안은 외국인 투자자의 불편함을 직접 해소하고 우리 자본시장 접근성의 체감도를 높일 수 있는 조치”라며
“하루 전 송금이나 당일 원화대출 등 불필요한 부담과 비용이 줄어들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글로벌 투자자들이 변화와 혜택을 명확히 인지할 수 있도록 노력해달라”고 관계기관들에 당부했다.
![]() |
이형일 기재부 1차관(왼쪽에서 두번째)(사진=기재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