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가 개막한 29일 경북 경주 관광의 대명사이자 ‘핫플’인 황리단길과 황남고분군 일대가 ‘시네마천국’으로 변했다. 황리단길에서 수제맥주를 판매하는 경주맥주 직판장과 피자987, 황리단길의 작은 시장 황남시장 2층의 루프톱 상가를 중심으로 골목영화제가 개막했기 때문이다. APEC 정상회의 참석자와 관광을 위해 경주를 찾은 관광객은 골목에서 상영되는 영화를 보며 인공지능(AI)이 여는 새로운 영상의 신세계를 즐겼다.
경상북도와 경주시는 APEC 정상회의에 맞춰 29일부터 다음달 2일까지 골목영화관을 운영한다. 골목영화관 총 10개소에서 북미 박스오피스 한국영화 역대 1위인 킹오브킹스 등 총 44편의 영상과 영화를 상영한다.
AI와 확장현실(XR) 기술을 활용한 이 영화제는 지난달 12~14일 구미, 경산, 청도에서 열린 경북국제AI메타버스영상제(GAMFF)의 확장 버전이다. 황남동 고분군에는 메타돔 시어터라는 에어돔 영화관이 설치된다. 황리단길은 상가 골목 벽면과 루프톱에서 영화가 상영된다. 김보영 디지털메타버스 과장은 “한국의 AI산업이 기업 간 거래(B2B)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어 문화콘텐츠와 AI의 기업·소비자 간 거래(B2C) 확장성을 고려한 가상융합산업을 경북이 육성하고 선점하려는 의도에서 기획했다”고 말했다.
경상북도의 이런 시도는 국제AI메타버스영상제 개최 효과를 APEC이라는 국제 정상회의까지 확장한 모범 사례로 평가받는다. 도는 APEC 골목영화제 개최를 계기로 가상융합산업을 포스트 APEC 대표 사업으로 추진해 경북을 국내 문화콘텐츠산업과 AI를 활용한 가상융합산업의 중심으로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국제영상제를 개최하고 있는 만큼 APEC 회원국과 함께 문화산업과 가상융합산업을 발전시킨다는 목표다.
골목영화제에선 AI 기술로 제작한 경북 AI 메타버스 영상공모전 수상작 35편 외에 경북연구원이 수행 중인 신라왕경 디지털 복원 사업(181억원 규모)의 결과물도 상영한다. 신라왕경 9개 지구의 유적을 복원한 초고해상도 디지털애셋을 활용해 만든 영상 여덟 편이다. 유철균 경북연구원장은 “경상북도가 만든 신라왕경 유적 복원 디지털애셋은 국가유산청 클라우드 서버에도 올라가 있다”고 말했다. 이 디지털 영상은 APEC 정상회의 참가자들이 이용하는 XR 모빌리티 버스에서도 상영된다.
경상북도는 신라제면 앞길, 대릉원 돌담길 등 황리단길 곳곳에 빔 조명 등을 활용해 야간 풍경을 선사하고 있다.
이철우 경북지사는 “문화유산과 첨단기술이 융합한 경주만의 APEC을 만들고 가상융합신산업도 적극적으로 육성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경주=오경묵 기자 okmook@hankyung.com

13 hours ago
2








![엄지성 이어 조규성·이한범도 포스텍 울렸다! 미트윌란, 노팅엄 원정서 3-2 승리…포스텍의 노팅엄, ‘패패무무패패’ 멸망 [유로파리그]](https://pimg.mk.co.kr/news/cms/202510/03/news-p.v1.20251003.f2964094c0e0447f84af28c5f48d0e9a_R.jpg)







English (U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