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명 늘자 가계 빚 증가"…고령화 땐 가계부채 비율 '감소'

4 hours ago 2

사진은 기사와 관련 없음.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은 기사와 관련 없음.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지난 20년간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 상승 가운데 80% 이상이 기대수명이 늘어난 영향이란 국책연구기관의 연구 결과가 나왔다. 반면, 고령화가 진행되면서 대출 비중이 높은 청년층이 급감해 가계부채가 점차 감소 국면에 접어들게 된다는 관측도 제기됐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5일 김미루 KDI 연구위원이 작성한 '인구구조 변화가 가계부채에 미치는 영향' KDI 포커스 보고서를 공개했다.

김 연구위원에 따르면 2003~2023년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 상승 폭 33.8%포인트 중 28.6%포인트는 기대수명 증가에 따른 것으로 분석됐다. 4.0%포인트는 연령대별 인구구성 변화가 영향을 미쳤다.

전체 상승 폭의 약 85%가 기대수명 증가 영향이었던 것. 이 기간 우리나라 기대수명은 77.3세에서 6.2세 오른 83.5세를 나타냈다.

김 연구위원은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했는데 기대수명 증가는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을 유의미하게 상승시켰다고 설명했다. 반대로 청장년층 인구가 줄고 인구구조가 고령화될 경우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유의미하게 감소한다고 분석했다.

기대수명이 1세 증가할 때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약 4.6%포인트 증가했다. 청장년층 인구(25~44세) 비중이 1%포인트 줄어들고 고령층 인구(65세 이상) 비중이 1%포인트 늘면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약 1.8%포인트 감소한다는 추산이다.

이 같은 경향이 나타나는 이유는 가계가 생애 전반에 걸쳐 소비를 일정하게 유지하려는 성향을 보이기 때문이라는 것이 김 연구위원의 설명이다.

생애주기상 직장에서 퇴직하는 연령이 정체된 상황에서 기대수명이 증가할 경우 가계는 길어진 노후에 대비해 소득이 발생하는 기간 중 자산을 더 많이 축적하려는 경향을 보인다. 인구의 중심이 30~40대 청장년층에 집중되면 미래소득을 현재로 앞당기는 과정에서 차입 수요가 확대되면서 가계부채가 증가할 수도 있다.

앞으로 저출생이 이어지면 인구 다수가 60~70대 고령층으로 구성되고 가계부채는 감소하는 추세를 보일 가능성이 크다.

우리나라 기대수명은 2070년까지 6.4세 늘어난 90.9세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을 약 29.5%포인트 끌어올리는는 요인이 된다. 이 기간 고령화가 심화할 경우 연령대별 인구구성 변화는 가계부채 비율을 약 57.1%포인트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결과적으로 인구 요인이 2070년 가계부채 비율을 현재보다 약 27.6%포인트 낮추는 효과를 가져온다는 전망이다.

김대영 한경닷컴 기자 kdy@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