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5년까지 매출 15조원 규모의 글로벌 대표 뷰티 기업으로 성장하겠다.”
8일 아모레퍼시픽그룹에 따르면 서경배 회장(사진)은 지난 4일 서울 한강로 본사에서 열린 창립 80주년 기념식에서 이런 내용의 10년 중장기 비전과 전략을 발표했다. 지난해 아모레퍼시픽그룹의 매출은 4조2599억원이다. 이를 10년 안에 두 배 이상으로 끌어 올리겠다는 목표를 세운 것이다.
서 회장은 “현재 50% 수준인 글로벌 매출 비중을 70%까지 높이고, 매출 1조원 이상의 글로벌 메가 브랜드를 적극 육성할 것”이라며 “핵심 사업 영역인 프리미엄 스킨케어 시장에서는 글로벌 톱3으로 도약하겠다”고 말했다.
아모레퍼시픽그룹은 ‘크리에이트 뉴 뷰티’란 새로운 비전을 선포하고 이를 구체화하기 위해 5대 전략을 마련했다. 글로벌 핵심 시장 집중 육성, 통합 뷰티 솔루션 강화, 바이오 기반 항노화 기술 개발, 민첩한 조직 혁신, 인공지능(AI) 기반 업무 전환이다.
글로벌 시장 육성은 한국과 북미, 유럽, 인도·중동, 중국, 일본과 아시아·태평양(APAC) 5대 시장을 중심으로 추진한다. 각 지역의 고객 특성에 맞춘 상품과 콘텐츠를 개발하고, 글로벌 유통사와의 협업 체계를 강화해 해외 사업 확대에 속도를 낸다는 계획이다. 뷰티 전 영역을 포괄하는 통합 포트폴리오도 강화한다. 럭셔리 안티에이징과 더마(피부과학) 카테고리에 집중하고 헤어케어와 색조 제품의 글로벌 진출을 가속한다.
웰니스와 디바이스 사업을 확장하고, 바이오 기술 기반의 항노화 솔루션 개발에도 나선다. 손상 예방과 노화 지연 등 핵심 연구 분야 투자를 확대해 차세대 기술 혁신을 선도한다는 계획이다. 이 밖에 마케팅과 연구개발, 생산, 물류, 영업 등 주요 부문에 인공지능(AI)을 적용해 전반적인 운영 효율화를 꾀한다는 방침이다.
K뷰티 인기에 힘입어 아모레퍼시픽의 해외 매출 비중은 확대되고 있다. 중국에서 북미·유럽으로 시장 포트폴리오를 조정하고 가성비 K뷰티 트렌드에 맞춰 중저가 시장 공략에 나선 결과 라네즈, 코스알엑스, 이니스프리 등이 북미·유럽 시장에서 ‘효자 브랜드’로 자리 잡았다. 이에 따라 아모레퍼시픽의 해외 매출 비중은 2021년 37%에서 지난해 43%로 높아졌다.
서 회장은 기념사에서 “지난 80년간 격동의 시대를 헤쳐 오며 한국 뷰티산업의 성장과 K뷰티 세계화를 이끌어 왔다”며 “시대에 맞는 새로운 아름다움을 제안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소이 기자 clair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