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국회가 1일 본회의에서 13조 8000억원 규모의 올해 추가경정예산안을 의결했다. 산업통상자원부도 9814억원의 예산을 추가 확보해 통상 리스크 대응과 첨단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15개 사업에 추가 투입한다.
![]() |
1일 국회에서 열린 본회의에서 2025년도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이 통과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산업부는 이날 국회 심의를 거쳐 15개 사업 9814억원 규모의 추경이 확정됐다고 밝혔다. 당초 산업부 제출안은 9591억원이었으나 국회 논의 과정에서 총 추경 예산이 1조 6000억원 늘어나면서 산업부 예산도 223억원 추가됐다.
산업부는 앞선 지난해 12월 국회 심의를 거쳐 전년보다 453억원 줄어든 11조 4336억원의 예산을 확보했으나, 이번에 1조원 남짓의 추가 예산을 확보하게 됐다.
산업부는 추경 예산 중 6704억원을 관세대응 바우처와 무역보험기금, 공급망 안정성 확보 등 사업에 추가 투입한다. 올 1월 출범한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시행한 각종 관세 부과 조치가 우리 기업에 큰 충격을 줄 것으로 보고 기업 지원 확대에 나선 것이다.
북미 진출기업의 현지 컨설팅을 지원하기 위한 관세대응 바우처 예산이 847억원 늘어나고 기업 애로 접수를 위한 창구 ‘관세대응 119’ 운영예산도 41억원 증액한다. 무역보험기금에 3000억원을 추가 출연하고, 각국 무역기술장벽(TBT) 대응 지원 예산도 74억원 늘어난다. 해외 진출기업의 국내 복귀와 외국인투자기업에 대한 지원 예산도 각각 200억원, 196억원 늘었다. 핵심광물 비축 예산도 2147억원 증액했다.
반도체, 이차전지 등 첨단산업 경쟁력 강화에도 총 3110억원 추가 투입된다. 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의 전력·용수 등 기반시설 구축에 1170억원을 추가 투입한다. 반도체 설계기업(팹리스)의 시스템 반도체 칩 검증 장비 구입 비용도 23억원 증액했다. 첨단전략산업 분야 소재·부품·장비 중소·중견기업 지원 사업 예산도 700억원 늘었다. 산업단지 환경조성사업도 561억원 증액한다.
산업부 관계자는 “추경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예산을 조속히 집행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