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건설업 침체로 일자리 급감…지방 부동산 붕괴 막아야

1 week ago 4

입력2025.04.09 17:19 수정2025.04.09 17:19 지면A31

지난달 건설업 취업자가 2013년 관련 통계 집계 이후 가장 많이 감소했다고 한다. 작년부터 이어지는 건설경기 침체가 본격적으로 고용시장에 악영향을 미치기 시작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어제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지난달 건설업 취업자는 193만2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8.7%(18만5000명) 줄었다. 역대 최대 감소폭이다. 지난해 5월부터 11개월 연속 줄었는데, 이 역시 최장 기록이다. 건설사는 줄도산하고 있다. 지난 1월 신동아건설을 시작으로 삼부토건, 대우조선해양건설 등이 법정관리에 들어갔다. 충북 1위인 대흥건설도 법정관리 준비 중이다. 지난해 4분기 종합건설업 폐업 신고(206건)가 13년 만에 처음으로 등록(134건)보다 많았을 정도다.

1500원에 육박할 정도로 치솟은 원·달러 환율은 새로운 부담이다. 수입 건설자재 가격이 오르기 때문이다. 공사비 상승을 감당하지 못하는 건설사가 속출할 수 있다. 정부는 건설사의 공사 비용과 인건비를 구분토록 하는 조치를 확대 적용하고 있다. 건설업의 임금체불 급증을 우려해서다. 건설경기 실사지수(CBSI)는 지날달까지 10개월 연속 기준치(100)를 밑돌았다. 경기를 비관적으로 보는 건설사가 더 많다는 것이다. 특히 지방 건설업 경기는 심각하다. 서울(82.3)은 8.5포인트 상승해 다소 개선됐지만, 지방(55.9)은 7.7포인트 하락해 격차가 더 커졌다.

정부는 지난 2월 지방의 준공 후 미분양 아파트 3000가구 공공 매입 등 지방 건설경기 활성화 대책을 내놨지만 큰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다. 수요 진작을 위한 지방 추가 매입 주택의 다주택자 중과세 제외 방안은 언제 도입될지 기약하기 어렵다. 경기에 후행하는 고용 지표까지 무너지고 있는 게 건설업의 현실이다. 지방 부동산시장 붕괴를 막기 위한 대책이 시급하다. 정부는 수도권과 지방을 분리해 지방에는 파격적인 건설경기 부양책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