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아직 무역 협정을 체결하지 않은 일부 국가의 경우 미국의 관세는 7월 9일이 아닌 8월 1일부터 부과된다. 이에 따라 협상 기간은 3주 더 연장될 전망이다.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 장관은 현지 시간으로 6일 늦게 트럼프 대통령과 함께 워싱턴으로 가는 대통령 전용기에서 기자들에게 미국의 관세 부과는 8월 1일부터 발효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는 아직 협정을 체결하지 않은 일부 국가들이 협상 기간을 3주 연장할 수 있는 옵션을 가질 수 있다는 뜻이다. 이에 따라 한국과 일본 인도 유럽연합(EU) 등은 추가 협상 시간 확보에 나서고 있다.
러트닉 장관은 또 "관세는 8월 1일에 발효되지만, 대통령이 현재 세율과 거래를 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 몇 주 동안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무역 합의에 실패하는 국가의 경우 상호 관세를 7월 9일부터 4월 2일 발표한 관세율보다 높은 수준으로 되돌릴 것이라고 주장해왔다. 그러나 베센트 장관은 현재 진행 중인 논의 건수가 너무 많아 최종 단계가 더욱 복잡해지고 있다고 밝혔다.
CNBC에 따르면, 7월 9일 관세 시행일을 확정한 트럼프 대통령의 4월 9일 행정명령은 아직까지는 공식적으로 개정되지 않았다. 대통령의 광범위한 관세 권한에도 이 명령이 8월 1일을 관세 부과일로 확정하는 새로운 행정 명령으로 대체되어야한다.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은 미국이 무역 상대국에 최대한의 압력을 가하고 있으며, 유럽 연합(EU)과의 협상에서 "매우 좋은 진전"이 있었다고 밝혔다. 유럽 연합은 27개국으로 구성되어 미국 전체 상품 무역의 거의 5분의 1을 차지한다.
베센트 재무장관은 또 트럼프 대통령이 이번 주 무역 상대국에 보낼 서한이 각국의 최종 관세율은 아님을 시사했다.
베센트는 “18개 주요 교역국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상대방의 지연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몇몇 주요 협정은 거의 마무리됐다”고 말했다. 현재까지 트럼프 정부는 영국과의 제한적인 무역 합의, 중국과의 휴전, 트럼프가 발표한 베트남과의 협정에 대한 간략한 개요만 발표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미국 관리들은 연휴 기간 동안 일본,한국,EU,베트남 등 여러 나라와 협상을 진행해왔다. 트럼프 대통령의 대표적인 거래 방식 중 하나는 협상이 중요한 단계에 이르렀을 때 일방적으로 위협하는 것이다. 그가 보내겠다는 서한이 진짜인지, 마지막 순간에 협상 당사자를 위협하기 위한 것인지는 불확실하다.
지난주 트럼프 대통령이 베트남과의 협정을 발표한 후, 베트남 외교부는 협상자들이 여전히 미국측과 세부 사항을 조율중이라고 밝혔다.
인도와도 잠정 협정이 체결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뉴델리의 관리들은 최근 들어 강경한 입장을 시사하며 미국이 자동차와 부품에 대한 관세를 인상한데 대한 보복으로 일부 미국 상품에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위협했다.
자동차 관세에 대해 일본과 마찬가지로 우려하는 한국의 경우 미국측과 마감일 연장 방안을 논의중이다.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는 모든 관세 시나리오에 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시바 총리는 전 날 후지TV '선데이 뉴스 더 프라임' 프로그램에서 일본은 모든 상황을 예상하며 "확고한 자세"로 자국의 이익을 수호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말했다.
김정아 객원기자 kj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