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간판이 뭐가 중요해요”…이과생은 ‘이것’부터 따졌다는데

12 hours ago 2

사회

“대학간판이 뭐가 중요해요”…이과생은 ‘이것’부터 따졌다는데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대학 진학을 앞둔 수험생들이 고려하는 요소로는 전공 적합성, 대학 네임밸류, 취업률 등이 있으며, 최근 설문조사에 따르면 인문계열은 ‘대학 네임밸류’를, 자연계열은 ‘전공 적합성’과 ‘졸업 후 진로 전망’을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연계열 학생들은 전공의 전문성과 진로 연계성을 중시하는 반면, 인문계열 학생들은 대학 브랜드 가치가 사회적 평판과 연관된다고 보고하는 경향이 있다.

우연철 진학사 소장은 전공 적합성을 우선시하면서도 더 좋은 대학을 선택하려는 현실적 판단이 있고, 이는 향후 정시 지원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설명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진학사 1500명 설문조사 결과
자연계 60% “전공적합성이 중요해”
인문계, 학교 네임밸류 상대적 중시

올해 6월 열린 대학입시 설명회에 참석한 사람들. [연합뉴스]

올해 6월 열린 대학입시 설명회에 참석한 사람들. [연합뉴스]

대학 이름값, 전공에 따른 진로 선택, 통학 거리, 장학금 등 대학 진학을 앞둔 수험생들이 학교를 선택할 때 고려하는 요소는 다양하다. 다만 최근 수시모집에 지원한 수험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인문계열은 ‘대학 네임밸류’를, 자연계열은 ‘전공 적합성’과 ‘진로 전망’을 상대적으로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학사는 29일 2026학년도 수시 지원 수험생 15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수험생들은 대학·학과 선택 시 ‘학과·전공의 적합성’을 가장 중요하게 고려한다는 항목을 60.6%로 가장 많이 선택했다. 그 뒤를 이어 ‘대학 네임밸류’ 46.9%, ‘취업률 및 졸업 후 진로 전망’ 36.2% 순으로 나타났다.

사진설명

유명 대학의 이름값을 무시할 수는 없지만 그보다 자신의 적성과 장래 희망에 맞는 전공을 먼저 고려하는 모습이 드러난 것이다. 특히 최근 수시에서 학생부종합전형이 확대되면서 수험생들이 자신에게 맞는 특정 전공을 먼저 정하고, 고교에 재학하는 동안 그와 관련된 활동이나 탐구 과정을 해왔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다만 계열별로는 대학 선택 기준이 갈리는 모습도 드러났다. ‘대학 네임밸류’를 선택한 인문계열은 51.6%인 반면 자연계열은 43.4%가 선택해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했다. 반대로 자연계열 학생들은 ‘전공 적합성’(62.8%)과 ‘졸업 후 진로 전망’(39.4%)을 모두 인문계열 학생들(각각 58.1%, 32.4%)보다 더 많이 중시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인문계열에서는 대학 브랜드 가치가 사회적 평판도와 직결된다고 보고, 자연계는 전공의 전문성과 진로 연계성이 취업 등에 유리하다고 보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우연철 진학사 입시전략연구소 소장은 이를 두고 “전공 적합성을 우선시하면서도 가능하다면 더 좋은 대학을 선택하려는 현실적 판단이 함께 작용하는 것”이라며 “이 같은 차이는 향후 정시 지원에서도 학과별 경쟁률이나 교차지원 패턴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