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 관세폭탄 비상 "20%보다 낮추겠다"

1 day ago 3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대만의 올해 2분기 GDP는 1년 전 대비 7.96% 증가하며, 이는 예상을 크게 초과한 수치로 AI와 신기술 수요 증가가 주요 요인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미국이 20%의 상호관세를 부과할 것이라는 예고로 인해 하반기 성장 둔화가 우려되고 있으며, 반도체 협상의 결과가 중요한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라이칭더 대만 총통은 임시 세율에 대한 협상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미국과의 추가 협상에서 유리한 세율을 취득하기 위한 노력을 계속하겠다고 밝혔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美와 합의 시한 못맞췄지만
라이칭더 계속 협상의지 밝혀
TSMC 업고 2분기 8% 성장
경기 상승세 이으려 안간힘

사진설명

대만이 인공지능(AI) 산업 성장에 따라 세계 최대 반도체 파운드리(수탁생산) 기업 TSMC이 약진하고 미국에서 상호관세를 시행하기 전 수출 등이 증가한 것에 힘입어 올해 2분기 8%에 가까운 성장률을 달성했다. 다만 미국과 무역합의를 완료하지 못하고 20% 상호관세를 적용받게 되면서 올해 하반기 경제성장이 둔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1일 대만 자유시보에 따르면 대만 행정원 주계총서(통계청)는 전날 올해 2분기 국내총생산(GDP)이 1년 전보다 7.96%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주계총서 자체 전망치(5.23%)와 로이터통신·블룸버그가 조사한 평균 예상치(5.70%)를 크게 웃도는 수치다.

이에 대해 주계총서는 "AI와 신기술 응용에 대한 수요가 늘었고 미국 상호관세 유예 기간이 끝나기 전 고객들이 물량 확보에 나서면서 올해 2분기 상품 수출이 작년 동기 대비 34.06%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반면 올해 2분기 국내 수요 실질성장률은 2.49%에 그쳐 내수 부진은 이어졌다.

제이슨 투비 캐피털이코노믹스 신흥시장 담당 수석이코노미스트는 AFP에 "(2분기 성장률에는) 관세 선수요가 영향을 미쳤다"며 "민간소비가 둔화했지만 수출 호황이 이를 상쇄했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미국이 7월 31일(현지시간) 대만에 20%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통보하면서 올해 하반기 성장이 주춤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특히 미국과 진행하는 반도체 추가 협상 결과가 최대 변수가 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카이지투자자문 관계자는 자유시보에 "미국이 부과한 20% 관세는 하반기 경제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라이칭더 대만 총통은 1일 20% 관세가 임시 세율이라는 점을 밝혔다. 그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상호관세율을 32%에서 20%로 하향 조정했지만 20%는 애초부터 대만의 목표가 아니었다"며 "후속 협상에서 더 유리하고 합리적인 세율을 얻어내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 부분에 대해서는 미국 정부도 대만과 협상을 진행할 뜻을 표했다"며 세율 인하를 위해 더 노력하겠다고 했다.

[베이징 송광섭 특파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