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출권 비상 걸린 발전 5社
10%인 유상비율 5년 후 50%
환경부가 발전 부문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율을 급격히 올리기로 하면서 재무구조에 직격탄을 맞게 된 발전공기업 5사(남동발전·남부발전·동서발전·서부발전·중부발전)가 정부에 ‘SOS’를 쳤다.
10일 발전공기업들이 조지연 국민의힘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이들 5개사는 배출권 수익으로 조성되는 기후대응기금을 발전 부문 설비투자, 연구개발(R&D) 비용 지원에 우선 사용해줄 것을 정부에 촉구했다. 환경부 계획대로 현행 10%인 발전 부문 배출권 유상할당 비율을 2030년까지 50%로 상향하면 발전사 재정이 심각한 수준으로 악화되기 때문이다.
발전사들은 탄소배출을 줄일 수 있는 무탄소 인프라스트럭처 배관망, 청정수소 인수터미널 구축, 신재생에너지 확대 등에 지원을 요청했다. 개별소비세 등 세제지원과 녹색채권 등 금융지원도 함께 요구할 계획이다.
발전공기업들은 정부에 발전사를 포함한 다부처협의체를 구성해 배출권 구매비용 증가에 따른 지원을 요청하는 방안을 고려 중이다.
조 의원은 “발전사들과 같은 다배출 업종에도 배출권거래제 유상할당 비율 확대에 따른 지원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며 “기후대응기금을 발전사들의 무탄소 전환에 재투자해 선순환 구조를 완성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