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부패 폭로 SNS 차단에
성난 군중들 시위 전국 확산
교도소 급습해 900여명 탈옥
총리 사퇴·대통령 긴급대피
네팔 시위대가 정부의 소셜미디어(SNS) 차단을 통한 언론 통제 시도와 부정부패에 격분해 교도소를 급습하고 정부와 의회 건물에 불을 질렀다. 시위가 격화되자 당국은 군 병력을 도심에 배치했다.
10일(현지시간) AP통신 등에 따르면 네팔 시위대는 전날 카스키 교도소를 습격해 건물을 파괴하고 수감자 900명가량이 탈옥할 수 있도록 도왔다. 시위대는 다른 두 교도소에도 급습해 화재를 냈다.
시위대는 전날 사임한 샤르마 올리 총리의 자택을 포함해 정치인 24명의 관저와 정부청사에도 불을 질렀다. 방화로 총리의 아내는 숨졌다. 대통령 관저에도 시위대가 들이닥쳐 불을 놓자 람 찬드라 파우델 대통령은 헬기를 타고 군사훈련센터로 긴급 대피했다. 시위대는 국회의사당·대법원·검찰청에도 불을 질렀다. 경찰은 지난 8일부터 최루탄을 비롯해 물대포와 고무탄을 쏘며 진압을 시도했다. 현재까지 20여 명이 숨지고 500명 넘게 다쳤다.
총리 사임에도 시위가 오히려 확산되자 당국은 도심에 군 병력을 긴급 투입했다. 네팔 군 당국은 성명에서 "일부 집단이 현재 불안을 이용해 민간인과 정부 재산 모두에 피해를 주고 있다"며 자제를 촉구했다.
이번 시위는 네팔 정부가 지난 5일부터 유튜브·인스타그램 등 당국에 등록하지 않은 SNS 26개의 접속을 차단하면서 촉발됐다. 시위대는 많은 네팔인들이 SNS를 통해 뉴스를 접하고 있는 상황에서 정부가 언론의 자유를 억제하기 위해 SNS 통제에 나섰다고 비판하며 시위를 벌였다. 시위는 8일 경찰과 충돌해 시위대 중 19명이 사망하면서 대중의 분노가 커져 확산됐다. 이에 책임지고 올리 총리가 사임했지만 시위를 잠재우기에는 역부족이었다. 네팔은 의원내각제로 총리가 실권을 지닌 행정 수반이고 대통령은 의전상 국가 원수직을 수행한다.
[김제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