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해서 일단 빌리긴 했는데”…보험대출 못 갚는 사람 얼마나 늘었나 보니

5 hours ago 4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경기 침체가 장기화함에 따라 해지환급금을 담보로 한 보험계약대출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신용등급이 낮은 차주들이 많이 이용하고 있다.

이 대출은 DSR 규제가 적용되지 않아 서민들이 마지막으로 찾는 대출 수단이 되었고, 50세 이상 차주 비율도 높아 생계 지원을 위해 활용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급전이 필요로 찾는 사람들 가운데 연체 차주도 증가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수요는 계속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사진설명

경기 침체가 장기화하면서 해지환급금을 담보로 한 보험계약대출을 찾는 개인이 늘고 있다. 보험계약대출은 해약환급금의 50~95% 범위로 지급되며, 본인이 가입한 보험 이율에 1.5%포인트를 가산한 이자를 내야 한다. 가입심사가 없어서 24시간 내에 승인되는 등 장점이 많지만, 연체가 길어지면 보장도 종료될 수 있다는 점이 가입자에게 심리적 장벽으로 작용해왔다.

이 때문에 ‘서민 최후의 급전 창구’라는 별명이 붙을 정도로 대출 수요자가 가장 마지막에 찾는 상품이었다. 그럼에도 지난해 전체 금융업권에서 차주가 줄어드는 동안 보험업권에서만 늘어난 것은 가계대출 관리의 풍선효과로 해석된다. 금융당국이 가계대출을 우리 경제 뇌관으로 지목하고 1·2금융권을 전반적으로 압박한 가운데, 대출이 시급했던 서민은 끝내 보험사 문을 두드렸던 것이다.

이는 보험계약대출엔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 적용되지 않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보험계약대출은 해약환급금 이내에서만 내주기에 보험사로서는 원금을 돌려받지 못할 위험이 없기 때문이다. 작년 9월 2단계 DSR이 시행되면서 개인이 대출받을 경로가 곳곳에서 막힌 와중에 보험계약대출만 예외로 남았던 셈이다.

차주 중에서도 상대적으로 신용등급이 낮은 경우가 많다. 1금융권에서 대출을 못 받고, 보험사를 찾은 개인이 다수였을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보험대출을 보유한 178만5898명 중 나이스평가정보 기준으로 신용점수가 900점 미만인 차주는 4분의 3에 달했다. 전체 업권에서 900점 미만 차주가 52%, 은행권에서는 46%인 것에 비해 중저신용자 비율이 높은 셈이다.

중장년층 차주 비중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0세 이상 차주 비율이 55%로 은행업권의 38%에 비해 높았다. 가장 중 생계를 위해 보험계약대출을 활용한 사례가 많았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급전이 필요한 사람이 찾았던 만큼 연체 차주도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난다. 지난해 말 보험대출을 보유한 차주 중 1000만원 이하 연체자는 총 1만810명으로 전년 동기 9555명에서 13% 늘었다. 같은 기간 전체 금융권에서 소액 연체 차주가 1104명 줄어든 것과 상반된다.

한동안 보험계약대출 수요는 계속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내수 부진이 길어지면서 올해 서민들 자금 사정이 그 어느 때보다 악화할 것으로 보는 관측이 많아서다. 아울러 오는 7월부터 3단계 DSR이 시행되면 동일한 소득에서 대출할 수 있는 금액이 줄어들어 DSR이 미적용되는 보험계약대출이 선호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