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이 12일 부동산신탁사 임원들에게 책임준공 리스크 관리와 건전성 확보, 내부통제 강화 등을 당부했다. 최근 경기 침체와 공사 원가 상승으로 건설사 위기가 신탁업계로 전이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면서, 금융당국이 직접 나서 업계에 선제 대응을 요구한 것이다.
이날 금융감독원은 금융투자협회 대회의실에서 13개 부동산신탁사를 대상으로 한 간담회를 열었다. 서재완 금융투자부원장보는 이 자리에서 "공정률이 부진한 사업장은 사전 관리로 기한 내 준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야 한다"며 "이미 준공 기일을 넘긴 사업장은 소송에 대비해 충당금을 보수적으로 적립하고, 충분한 유동성을 확보해 이상 징후 발생 시 즉시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간담회에서는 지난 7월부터 시행된 '부동산신탁사 토지신탁 사업 건전성 규제 개정안'도 논의됐다. 개정안에는 영업용순자본비율 산정 방식 변경과 토지수탁 한도 신설이 포함돼 있다. 서 부원장보는 "업계 성장을 억누르려는 것이 아니라 건전성을 확보하면서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루기 위한 장치"라고 설명했다.
내부통제 강화도 중요한 과제로 꼽혔다. 금융투자협회는 업계와 협력해 오는 11월 '부동산신탁사 영업행위 모범규준'을 제정할 예정이다. 용역업체 선정 방식 개선, 임직원 청렴 서약, 부당행위 신고센터 운영 등 구체적인 내부통제 수단이 이다. 서 부원장보는 “각 사는 모범규준 취지에 맞게 내규를 정비하고, 임직원 일탈을 방지할 실효성 있는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내년 7월까지는 개정 지배구조법에 따라 각 신탁사가 책무 구조도를 마련해 감독 당국에 제출해야 한다는 점도 강조됐다.
간담회에 참석한 업계 관계자들은 "대내외 불확실성이 여전하지만, 잠재 리스크는 줄어들고 있다"며 "충당금 적립과 유동성 관리로 리스크에 선제 대응하고, 모범규준과 책무구조도 마련도 예정대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박주연 기자 grumpy_cat@hankyung.com